김부식 본지 발행인 / 조경기술사
김부식 본지 발행인 / 조경기술사

2023년 조경분야의 가장 두드러진 트랜드는 정원문화의 확산이다. 2010년 경기도 시흥 옥구공원에서 ‘경기정원문화박람회’가 개최되면서 시작된 정원박람회는 13년이 지난 지금 전국의 모든 지자체가 정원박람회를 기획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열풍이 불고 있다.

2년마다 열리던 경기정원문화박람회가 연례행사로 확대 발전하면서 서울, 부산, 울산, 대구, 세종, 전남, 경남, 전주, 진주, 청주, 완도 등지에서 정원박람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지난달에 막을 내린 202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는 관람객이 1천만 명에 육박하는 흥행대박을 터트렸다.

정원정책을 담당하고 있는 산림청에서는 민간정원, 지방정원, 국가정원 지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설정하고 더 많은 국민들이 정원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지원을 하고 있다. 그중에 국가정원의 지정을 받으면 예산에 대한 혜택까지 받을 수 있어서 많은 지자체들이 국가공원 지정을 받기 위해 준비를 하고 있다. 이미 순천만국가정원과 울산태화강국가정원은 시민들이 좋아하고 사랑하는 공간으로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어서 타 지자체가 부러워하고 있다.

부산광역시는 공원녹지 행정과 조경산업의 협력과 소통이 매우 잘되는 곳으로 알려져 왔다. 2014년에 개최된 부산조경·정원박람회는 부산조경인의 역량이 결집된 행사로 산학관(産學官)이 잘 조화된 행사로 여겨졌다.(본보 제306호 김부식칼럼 ‘진격의 부산 조경인’ 참조)

그런데 지난달 다대포해상공원에서 열린 제9회 부산정원박람회는 그동안 부산조경의 전통과 노력이 물거품이 돼버린 인상을 지울 수가 없을 정도로 이상한 행사로 보였다. 정원박람회에 참석한 이성권 부산시 경제부시장은 축사를 통해서 정원과 공원의 순기능을 강조하고, 부산에도 국가정원을 조성하겠다는 목표를 천명했지만 지금의 부산시 행정조직을 보면 실현이 불가능한 립서비스에 불과한 표현이라고 생각된다.

이번 정원박람회의 주관부서는 산림녹지과이고, 행사장소인 다대포해상공원의 관리부서는 공원정책과인데 두 부서간의 협업 사항이 전혀 보이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부산조경협회와도 협업이 없는 것으로 여겨져서 조경·정원전문가의 협력과 소통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데 문제가 있어 보인다.

여기에는 행정조직이 문제가 있다고 본다. 유관부서인 산림녹지과와 공원정책과가 각각 경제부시장 담당의 환경물정책실과 행정부시장 담당 도시정책국으로 분리되어 있으면 어떻게 정보교환과 소통이 될 수 있겠는가 말이다. 전국의 어느 지자체 조직을 보아도 공원녹지 행정 조직이 이렇게 비능률적인 조직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국가정원의 지정을 받으려면 조직의 구성도 있어야 하며 그렇게 해야 만이 정책과 예산이 수반된다. 순천시에 이어서 두 번째로 국가정원을 지정받은 울산광역시는 국가정원 지정을 위하여 녹지정원국을 신설했으며 현재 3개 과(課)를 운영 중이다. 다른 기초자치단체도 국(局) 단위의 조직을 구성하여 시민의 녹색복지를 지향하고 있는데, 대한민국 제2의 도시인 부산광역시의 공원녹지부서에 대한 비효율적인 운영은 부산시민의 녹색복지에 대한 열망과 시대의 요구에 역행하는 처사라고 할 수밖에 없다.

부산에서 4년제 대학교 조경학과를 졸업하고 청운의 뜻을 품고 공직에 입문한 젊은 녹지직 공무원들에게 과장 직책이 승진의 끝이라면 매우 슬픈 일이다.

[한국조경신문]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