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이 주최하고 (사)생명의숲이 주관하며 카카오같이가치가 후원하는 생명의 숲 산불 토론회 세 번째 ‘기후위기와 도시재난 도시숲 산불 관리방향 토론회’가 지난 3일(목)일 14시부터 17시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생명의숲은 기후위기 시대 도심 한복판에서 발생한 인왕산과 강릉 산불이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고, 도시재난에 대비한 도시숲 산불 관리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에 앞서 윤여진 생명의숲 정책활동팀장의 진행으로 남성현 산림청장의 축사 영상, 김석권 생명의숲 공동대표의 인사말이 이어졌다.

 

왼쪽부터 오충현 동국대학교 교수 ,최승희 생명의숲 사무처장, 권춘근 국립산림과학원 박사,김진근 서울특별시 재난안전상황실 재난관리1팀장
왼쪽부터 오충현 동국대학교 교수 ,최승희 생명의숲 사무처장, 권춘근 국립산림과학원 박사,김진근 서울특별시 재난안전상황실 재난관리1팀장

첫 번째 발제로 오충현 동국대학교 교수가 ‘도시재난 대응을 위한 도시숲 산림관리 방안’을 발표했다. 도시 숲은 도시재난의 요인, 대응요소, 저감요인이 되는 이중성을 지니고 있으며, 인구 도시집중 현상으로 고밀화된 도시에서 도시숲은 더는 안전한 존재만이 아닌 위험을 지닌 양날의 칼이라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더불어 도시숲이 도시재난 발생의 요인이 되지 않으려면 ▲방재를 위한 임도 설치 ▲방재 대응 숲 가꾸기 ▲주택가 조림수종의 변화 ▲재난 대응 대피 및 지원장소로의 역할을 보강해야 한다고 밝혔다.

두 번째 발제로 최승희 생명의숲 사무처장은 ‘인왕산, 강릉 산불의 시사점’을 주제로 발표했다. 지난봄 일어난 두 산불은 숲이 주거밀집지역에 인접해 산림을 비롯한 인명, 재산 피해 등 종합적인 피해가 발생했다며, 숲세권보다 안전이 먼저라고 말했다. 내 뒷산인 친근한 도시숲이 산불의 피해지가 되지 않기 위해 도시, 숲, 사람을 고려한 종합 대응이 체계화해야 한다고 전했다.

세 번째 발제로 권춘근 국립산림과학원 박사는 ‘기후위기 시대, 산불 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 전략’을 발표했다. 기후변화와 토지 사용 변화로 인해 세계 대형 산불은 2030년에는 14%, 2050년도에 30%가 증가한다는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최근 우리나라의 산불은 1년 중 200일 발생했다며 더 이상 산불에서 안전한 지역이 없음을 시사했다. 생애주기별 안전교육에 대국민 산불교육을 의무화한다면 95% 사람의 실수로 발생하는 산불을 90%는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네 번째 발제로 김진근 서울특별시 재난안전상황실 재난관리1팀장은 ‘서울시 도시형 산불대응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서울시는 도시형 산불 위험지역을 선정했으며 대도시형 도시형 산불 대응방안으로 ▲컨트롤 타워 역할의 전문조직 신설 ▲산불 진화 인력 및 장비보강 ▲수막시설 설치를 통한 방재 및 지연 ▲방염 약제를 사용해야 한다고 전했다.

 

왼쪽부터 윤도현 강원영동생명의숲 사무국장, 이은석 건축공간연구원 연구위원, 김은희 도시연대 정책연구센터장, 김주열 산림청 도시숲경관과장, 한정훈 서울특별시 자연생태과장
왼쪽부터 윤도현 강원영동생명의숲 사무국장, 이은석 건축공간연구원 연구위원, 김은희 도시연대 정책연구센터장, 김주열 산림청 도시숲경관과장, 한정훈 서울특별시 자연생태과장

발제에 이어 토론에는 이시영 강원대학교 명예교수가 좌장을 맡고 윤도현 강원영동생명의숲 사무국장, 이은석 건축공간연구원 연구위원, 김은희 도시연대 정책연구센터장, 김주열 산림청 도시숲경관과장, 한정훈 서울특별시 자연생태과장이 참여했다.

윤도현 강원영동생명의숲 사무국장은 지난 4월 발생한 강릉 산불은 초속 30ml의 태풍급 강풍으로 진화에 어려움을 겪었다며, 도시형 산불은 헬기와 소방인력이 접근할 수 없는 기상상황에서도 효율적으로 방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은희 도시연대 정책연구센터장은 도시숲은 다양한 이해관계 복잡하게 얽힌 곳이라며 정책과 예산만 탓할 것이 아니라, 시민이 주체적으로 산불 피해 예방과 복구 정책 결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방식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김주열 산림청 도시숲경관과장은 서울시는 산불에 취약한 소나무 숲이 북악산 등에 분포해 있으며 헬기 진압이 어려운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며 초기대응이 어렵다고 말했다. 서울시 도시숲 산불 예방을 위해 ▲예방 진화대 고정배치 ▲시·구·유관기관 합동훈련 주기적 실시를, 진화 대책으로 ▲통합지휘체게 운영 ▲한강 이외 이동식 저수조 마련을 주장했다.

[한국조경신문]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