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기숙 한국여성건설인협회장
박기숙 한국여성건설인협회장

 

박기숙 한국여성건설인협회장은 녹색채권(Green Bond)를 활용한 사업화를 통해 재원 마련에 있어 다각화할 필요성과 민관협동으로 접근해 실질적 사업 완성도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 16일(목) 개최된 ‘2023년 제24회 한국생태복원협회 정기총회 및 특별강연’에서 ‘자연환경복원사업으로 하는 ESG경영’을 주제로 박기숙 회장이 현장에서 직접 체감하고 생태복원사업자들이 가지고 있는 많은 어려움 중 재원 마련과 관련된 사항들을 소개하는 자리에서 이와 같이 밝힌 것이다.

ICMA(The International Capital Market Association : 국제자본시장협회), CBI(Climate Bond Initiative : 국제기후채권기구) 등은 녹색채권(Green Bond), 사회적 채권(Social Bond) 등 통상 ESG채권이라고 말하는 각종 펀드 발행의 흐름을 체크하고 있다.

이외 MSCI(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Index : 모건스탠리 세계 주가지수), DJSI(Dow Jones Sustainbility Indices : 다우존스지속가능경영지수), S&P 500(Standard & Poor's 500 Index :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 주가지수)등에 대해서도 뉴스를 통해 거의 매일 접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이들과 ESG의 상관관계는 무엇인가. 가깝게 예를 들자면 지난 2020년 9월 S&P 500 지수에서 테슬라는 EGS 비재무적 평가에서 최하의 평가를 받고 탈락하면서 이에 따른 투자를 받지 못한 바 있다. 여기에 지수편입에 들지 못하자 다음날 테슬라 주가가 21% 폭락하는 사태가 일어나면서 사상 최대의 일일 하락폭을 기록하기도 했다.

그만큼 ESG경영은 금융권은 물론 기업에게도 사회적으로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 것이다.

박 회장은 “현재 금융과 기업 등에 ESG열풍이 일고 있다. 다른 것은 몰라도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은 KESG, Green Bond, K-Taxonomy(녹색분류체계) 3가지이다. 옛날에는 이산화탄소가 발생되도 아무 생각 없이 돈을 빌려줬다면 이제는 그린 파이낸싱이라는 그 자체가 녹색프로젝트에 돈을 많이 내보내겠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며 녹색채권에 대해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강조했다.

여기에 지난 2021년도에 환경부는 녹색금융 촉진을 위한 녹색 경제활동의 기준을 제시한 바 있다. 가이드라인에는 6가지 환경목표가 제시돼 있는데 ▲온실가스감축 ▲기후변화적응 ▲물의 지속 가능한 보전 ▲자원순환 ▲오염방지관리 ▲생물다양성 보전 등이 포함돼 있다.

이중 생물다양성 보전에는 4가지 세부활동 항목이 제시됐는데 ▲육상 및 해양생태계 보호 복원 ▲산림 생태계 복원 ▲도시 내 탄소흡수원 조성 ▲생물종 보호 보전 등이다.

 

박기숙 한국여성건설인협회장
박기숙 한국여성건설인협회장

 

 

이에 박 회장은 “우리가 하고 있던 사업들과 연계가 돼 있다. 특히 생물다양성 보전 말고도 우리 분야에서 접근할 수 있는 부분들은 많다. 물의 지속 가능한 보전은 결국 습지와 LID와 연관이 있고, 기후변화 적응 또한 관련이 있다”면서 “우리가 환경부에 국비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엄청난 분량의 서류와 결과물에 대한 설명하고 노력해야 했다. 하지만 녹색채권사업을 활용하면 보다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확산을 위해 IBK, 신한, 하나, 농협 등과 실천 협약을 체결했고, 시범사업으로 76억8000만 원의 이자 지원금을 마련해 중소기업 0.3%, 대기업과 공공기관에는 0.2% 금리를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녹색채권과 관련해서는 많은 잡음들이 일고 있다는 사실을 정부도 간파하고 있는 사안이다.

시중 금리가 비쌀 때는 녹색채권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도 금리가 낮을 때는 녹색채권이 유리한 사업에만 활용하는 등 비재무적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재무적 활용사례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녹색채권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 게 유리할 것인가에 대한 물음은 생긴다.

이에 대해 박 회장은 “우리처럼 환경사업을 하는 단체나 기업은 많다. 그렇기 때문에 ESG채권 복원사업을 할 때는 민관협동으로 추진하는 게 좋다. 대상지가 있으면 그 대상지는 ESG채권으로 접근해 사업을 우리가 맡아 진행하면 된다”고 말했다.

이를 통해 공기업은 공기업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고, 민간기업은 주가 총액이 높아져 기업 가치가 오를 수 있다는 기회적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하는 일을 민관협력해서 (업역을) 확대해 차후 한반도 생태복원까지 추진할 수 있었으면 한다”고 박 회장은 바람을 밝혔다.

[한국조경신문]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