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지 입지유형   ⓒ서울시
도심지 입지유형 ⓒ서울시

 

[Landscape Times 지재호 기자] 오는 2026년부터 매립지에 생활폐기물을 소각하지 않고 직매립하는 것이 금지되는 가운데, 서울시가 현재 운영 중인 4개 광역 자원회수시설에 더해 신규 자원회수시설을 2026년까지 건립한다고 밝혔다.

특히 시는 신규 자원회수시설을 ‘기피시설’이 아닌 ‘기대시설’로 조성해 자원회수시설의 패러다임을 새로 쓴다는 목표도 구상했다.

디자인, 친환경, 콘텐츠 등 모든 측면에서 매력적인 랜드마크이자 지역 명소로 만들어 인근 지역의 발전과 경제 활성화를 견인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소각시설은 100% 지하에 설치하고, 지상부엔 자원회수시설이라고 상상할 수 없도록 건축 디자인된 복합문화타운을 조성키로 했다.

이 안에 업무‧문화시설, 공원 등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되는 시설을 유치하고, 자원회수시설의 특징이자 기피의 상징이었던 높은 굴뚝은 관광 아이템으로 역활용해 전망대, 회전 레스토랑, 놀이기구, 스카이워크 등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해외에서는 자원회수시설을 지역의 명소로 만든 사례가 이미 여러 곳 있다.

대표적인 예로 덴마크 코펜하겐의 ‘아마게르 바케’는 소각시설 상부에 스키장을 만들고 벽면에는 암벽장을 설치해 관광명소로 각광받고 있다. 2021년 올해의 세계 건축물로 선정되기도 했다.

대만의 ‘베이터우’ 소각시설은 160m 굴뚝 상부에 전망대와 회전식 레스토랑을 운영, 360도 통유리를 통해 주변을 감상할 수 있다.

시는 지역 주민에게 확실한 인센티브도 제공할 계획이다. 약 1000억 원을 투자해 자원회수시설에 지역 주민이 원하는 편익시설 도입, 연간 100억 원 규모의 ‘주민지원 기금’도 조성해 아파트관리비, 난방비 등 주민복리증진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주민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자원회수시설 건립부터 운영 전 과정을 면밀히 관리할 계획이며 건립 전에는 ‘환경영향평가’를 통해 자원회수시설 건립에 따른 환경영향을 예측해 최소화 방안을 강구한다.

운영 과정에서는 ‘사후환경영향조사’, ‘주민건강영향조사’ 등을 실시해 환경변화와 건강영향을 조사하고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설명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자원회수시설이 서울시와 서울시민 전체를 위한 필수 시설이므로 최적 후보지 결정 시 지역주민의 이해와 협조를 당부드린다”며 “세계 최고의 랜드마크 조성, 깨끗하고 안전한 시설, 지역경제 활성화, 주민지원 등을 통해 기피시설이 아닌 기대시설로 전환되는 모범사례로 만들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최적 후보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입지선정위원회’에서 검토 중으로, 오는 9월 중 최적의 후보지를 결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한국조경신문]

 

도심 외곽 입지유형   ⓒ서울시
도심 외곽 입지유형 ⓒ서울시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