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열린 (사)한국환경계획∙조성협회 정기총회에서  ‘국제경관생태공학 컨소시엄(ICLEE)’ 김귀곤 회장(서울대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교수)의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생태적 접근’ 특별강연이 있었다.

▲ 국제경관생태공학 컨소시엄(ICLEE) 김귀곤 회장(서울대 조경학과 교수)

김 회장은 “4대강 마스터플랜과 관련해 생태 보전∙복원 전문가인 우리가 생태복원에 전기를 만들자”며 “이 일이 국가적∙세계적 사업인 저탄소 녹색성장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일이며 업역의 확장에 큰 기회이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생태하천 정비’라는 용어가 바람직하지 못하니 ‘자연하천 기본계획’로 바꾸자”고 강연의 서두를 꺼냈다.

김 회장은 “4대강 살리기 단장 등 정부 측에서도 학계의 전문적인 의견을 환영하고 적극적으로 반영하겠다는 확답을 들었다”며 “이런 좋은 기회에 조경학회∙생태복원학회∙환경계획조성협회 등이 자연하천의 생태 보전 및 복원과 관련 4대강 살리기 사업에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는 통합된 안을 만들어 제시한다면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또 “4대강살리기 사업와 관련 건강성 평가는 아직 안 나와 있다. 이것은 치수나 환경계획이 아닌 생태적 몫이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그리스 등 생태복원 선진국들의 예를 들며 “현재 4대강 살리기 사업 내용에 ‘유역 확대’는 없지만 ‘유역 확대’가 바람직하다”고 지적하며 대체 방안을 제안했다.

먼저, ‘직선형 강을 곡선형 강으로 조성해야 한다’며, 강이 곡선이 될 때 모래톱이 생기고 자갈밭 뻘, 습지가 생겨 육상 생태계로 연결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하천의 단면을 봤을 때 좌우 대칭으로 설계 시공하는데 자연은 좌우대칭이 아니니 강의 수직적 구조 설계에 고쳐 반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두 번째 제안으로 하천법 상 기재되어 있는 ‘보전지구, 복원지구, 치수지구’의 구분을 ‘민감지역, 영향받는지역 그리고 이미 훼손되어 생태적 기능을 못하는 생태계나 홍수터의 사전파악 및 보전, 복원 향상과 창출 대상지역의 구분’으로 보완해야 한다고 밝혔다.

세 번째 제안으로, 보전계획과 관련해 핵심지역, 완충지역, 전이지역으로 구분∙관리 해야 하며, 강 구간의 구분도 도시구간∙농촌구간∙산간구간으로 나누는 등 세분화 해야 한다고 말했다. 산간지방과 같은 상류의 경우 제방∙홍수터를 터서 산 자체를 제방으로 이용할 수 있다며 홍수 단면적을 키워 밑으로 팔 필요가 없고, 넘친 물이 저류지를 자연 형성하게 돼 동물 서식처 늘리기가 가능해 진다고 설명했다.

건강성 평가와 관련해 호주와 같이 호안 안과 밖을 구분해 놔두어도 될 곳과 복원 대상지역을 평가하는 방법을 도입 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고 말했다.

끝으로 주기적인 모니터링 및 순환적 관리 시스템을 4대강 살리기 마스터 플랜에 넣어, 공사 후에도 수정할 사항이 발견 될 경우 설계변경을 통해서 재공사를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귀곤 회장은 “우리가 함께 생태복원에 하나의 전기를 만든다면 생태복원 분야에서 우리의 역할에 명분이 서는 거다”며 이 모든 일들이 일자리 창출 등 정부의 명분과 일치하지 않느냐고 말했다. 덧붙여 우리가 이룬 업적으로 생물의 서식공간이 넓어지며, 이와 같은 분야의 기술과 정보가 정리돼 대외적으로 활용된다면 우리의 업역이 크게 넓어지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