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계를 대표할 수 있는 ‘한국조경단체총연합회’를 결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총괄조직이 구성되면 비상사태 때 대응체계 마련이 쉬워지기 때문에 발전재단이 아닌 모든 조경계를 총괄할 수 있는 조직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사)한국조경사회는 16일 제12회 조경기술세미나를 열고 ‘2016년도 신사업·시장을 위한 조경관련 정책 및 전략 제언’을 이어 나갔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현재 조경계가 앓고 있는 문제점인 조경 업역의 침해, 조경진흥센터건립, 도시재생정책 참여 등 조경계 이슈가 터지면서 이를 해결하고자 대안마련도 모색됐다.

“업역침탈 위기, 학계 및 조경계 발빠른 대응 부족" 

이용훈 한국조경사회 고문은 ‘한국 조경의 현주소와 당면과제’라는 발표를 통해 먼저 현재 조경 인접분야가 다른 인접분야로부터 침탈되고 있다는 문제점을 제기했다.

현재 조경의 분야는 정원과 경관을 포함해 ▲생태적(환경·산림·생물) ▲기능적(건축·토목·도시계획) ▲심미적(예술·디자인)인 분류로 나뉜다. 하지만 조경 인접분야가 업역 침탈을 받으면서 '정원, 경관, 환경' 부분이 이탈하게 됐다는 지적이다.

이 고문은 “생태·기능·심미적인 3요소 중 일부가 조경의 영역에서 빠져나고 있어 조경의 영역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라며 “정원, 경관, 환경 등 업역침탈 위기는 사실상 학자들의 영향과 조경계가 발빠르게 대응하지 못하는 게 가장 큰 원인이다”고 토로했다.

또 최근 (사)한국조경사회의 역할을 증대해 조경계 목소리를 키울 수 있도록 몸집을 불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본회의 규모를 키우기 위해 지역별 지회(호남권, 충정권 등)를 설립해 전국을 조직화하고 건설사 조경협의회, 엔지니어링 조경부서협의회, 조경설계업 협의회 등 친목단체를 산하기구로 흡수해야 한다는 방안을 내놓았다.

특히 국교부와 협력을 강화해 조경직 공무원의 채용을 확대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고문은 “2007년부터 2015년까지 8년동안 광주와 울산의 조경직 공무원 채용은 단 ‘0명’에 불과한 상황이다”며 “광주 및 울산에 거주하는 교수님들은 이 부분에 대해 각성하고 지역에서 우선적인 선발과정을 통해 미래 후배들을 위한 발판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교육 부문과 관련, 이 고문은 대학에서 조경정책을 전문으로 지도할 수 있는 ‘조경정책담당교수’를 육성하고 조경기사 시험에서 조경관계법규를 신설함으로써 조경계 힘을 길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현재 건축분야의 ‘건축·도시정책정보센타’, 산림분야의 ‘한국임업진흥원’처럼 조경계 또한 ‘조경진흥센터’ 신설할 것을 요구했다.

이 고문은 “내년 조경진흥법 집행을 앞두고 1년동안 조경계는 아무런 대책을 내놓지 못했다”며 “조경진흥센터 설립을 통해 조경계 현안을 알고 우리의 일을 대신해 줄 수 있는 국책기관을 양성해 모든 제도적인 연구를 이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조경단체총연합회 결성 촉구, 총괄조직 구성 제안

이날 조경기술세미나에서는 정대헌 한국조경신문 대표이사가 ‘위기의 조경산업, 미래 생존전략모색’이라는 주제로 발표해 주목받았다.

정 대표는 조경계를 대표할 수 있는 총괄조직인 ‘한국조경단체총연합회’의 필요성을 촉구했다. 그가 관찰자(Watcher)로서 조경학회에 매번 질문할 때 마다 돌아오는 대답은 “기존 발전재단이 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답해 매번 같은 형태의 조직운영이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총연합회를 구성할 경우, ‘누가 고양이 목에 방울 달아 갈 것이냐’에 대한 문제가 해결됨으로 인해 비상사태 때 대응체계 마련이 가능하다는 것.

정 대표는 “디자인단체총연합회, 공간디자인단체총연합회 등 타 산업에도 총연합회 성격을 지닌 총괄조직이 존재한다”며 “지금 총엽합회를 구성해 대응체계를 마련하지 않을 경우 조경 산업은 이보다 더 추락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다같이 일치된 모습을 가져야 제 2의 조경산업 부흥기가 올 수 있을 것"이라고 피력했다.

아울러 정 대표는 조경 내부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신기술, 트랜드’에 부합한 역량을 키우고 마케팅 교육을 통해 힘을 길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조경산업의 멀티 플랫폼을 구축하고 조경관리업에서 필요한 리딩컴퍼니를 만들어 조경관리, 정원관리 시장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역발전사업 1조원 규모…"적극적인 참여 필요"

한편 이날 세미나에서는 안상욱 천안시 도시재생지원센터장 단장의 ‘도시재생정책동향과 조경계의 대응전략’ 발제를 통해 조경계 문제점을 짚었다. 최근 지역발전과 도시재생 등 정책과 사업 동향에 조경계가 발빠르게 대응하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공모형 사업의 내용, 절차, 규모 등 관련 지역발전사업의 1조원 규모에 달하지만 이를 제대로 파악조차 못하고 있다는 것. 계획, 시공, 유지관리, 갈등조정 과정에 다양한 주체 참여가 가능한 공모형 사업의 경우 일반인뿐만 아니라 조경계가 참여할 경우 소득증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안 단장은 “이미 일부 조경가들이 마을만들기, 도시재생 과업에 참여하고 있다”며 “조경과 인접하고 있는 도시, 지역, 농촌 등 관련 정책의 동향을 파악하고 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역단위의 힘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도시재생 정책이 조경계와 밀접히 연결되어 있다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며 “도시재생사업에 마을주민, 도시 시민, 실무분야 및 학계, 시민사회단체의 전문가로서 늘 함께 고민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