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새로운 도시재생 전략을 선포했다.

27개 선도지역을 지정하고 2018년까지 1조3000억 원을 투입함으로써 맞춤형 도시재생을 통한 집중적인 도시재생 성과를 내겠다고 밝힌 것이다. 서울시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SH공사를 재생전문기관으로 선정하고 관련 부서 간 협업체계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서울시가 지난 9일 발표한 ‘서울 도시재생 종합플랜’은 민선 6기 핵심 키워드인 ‘도시재생’ 사업의 기본 추진방향을 담고 실행력에 무게를 둔 서울시 첫 종합적 재생계획이라고 밝혔다.

시는 지역 특성과 지속가능성 등을 고려해 세운상가, 세종대로, 서울역 일대 외 27곳을 ‘서울형 도시재생 선도 지역’으로 선정하고 일률적인 전면 철거 방식이 아니라 계획부터 실행에 이르는 모든 과정에 주민이 주축이 돼 그 공간만의 정체성을 살릴 수 있는 맞춤형 정비방식을 도입할 예정이다.

‘서울형 도시재생 선도지역’은 각각 ▲쇠퇴·낙후 산업지역(3곳) ▲역사·문화 자원 특화지역(7곳) ▲저이용·저개발 중심지역(5곳) ▲노후 주거지(12곳) 등 4개 유형으로 구분해 도시재생의 모델로 특화 추진하고 향후 서울 전역으로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간다.

▲쇠퇴·낙후 산업지역 유형은 △세운상가 △구로 서울디지털산업단지 △장한평역 일대 등 3곳으로 624억 원을 지원한다. ▲역사·문화 자원 특화지역은 △세종로 △ 마포석유비축기지 △노들섬 △남산 예장자락 △당인리 발전소 △낙원상가·돈화문로 △돈의문 일대 등 7곳으로 2560억 원을 지원한다. ▲저이용·저개발 중심지역은 △서울 역세권 주변 △창동차량기지 △코엑스~잠실운동장 △광운대역 △수색역 일대 등 5곳으로 463억 원을 지원한다. ▲노후 주거지는 △이화·충신, 성북, 부암, 행촌, 다산 등 22개 성곽마을 △백사마을 △해방촌 △암사1동, 신촌동, 상도4동 등 5곳 서울형 도시재생시범사업지 △북한산 주변 주거지 △서촌 △창신·숭인동 △가리봉동 등 12곳으로 1조31억 원을 지원한다. 총 투자금액은 1조3000억원에 이른다.

시는 더불어 SH공사를 재생전문기관으로 선정하고 추가로 1조 원 이상을 투입함으로써 공공(도시재생본부, SH공사)-민간(거주민, 건물주 등, 투자자) 파트너십을 구축한다.

이제원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저성장 시대, 서울의 재도약을 위한 도전과제인 도시재생(Regeneration)의 첫걸음을 떼는 이 시점에서 27곳 서울형 도시재생 선도지역이 모범적 사례가 되도록 추진해 나가겠다”며 “특히 시민과 함께하는 재생이 돼야 한다는 점을 원칙으로 삼아 100년 서울의 기반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