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설기술연구원(원장 조용주)은 각 지역별 홍수 및 방재 시설 및 지형ㆍ인구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ㆍ분석해 맞춤형 홍수 대책수립이 가능하게 하는 ‘이상기후로 인한 홍수대책 의사결정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지난 14일 밝혔다.

이는 GIS 기반의 선택적 홍수방어 의사결정 시스템으로 과거 기상 자료와 미래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접목해 특정 지역의 기상학적 취약성 분석이 가능하다.

이 시스템은 홍수에 대한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해 ▲지형의 수문학적 요인(지형의 상태) ▲기상학적 요인(지역기후 상태) ▲사회·경제학적 요인(지역거주민의 상태) ▲홍수방어능력 요인(홍수방어시설물의 상태)의 4개 그룹으로 취약성 지표를 세분화 했다.

또 지역별 사회 경제적 특성 및 홍수방어시설물, 공공시설물 등의 속성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 유역내의 특정 지점 또는 지역에 대해 개별적인 홍수방어 취약성 검토를 통해 지역 특성을 고려한 홍수 방어 전략을 수립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이를 통해 어느 지역의 홍수 피해가 더 크게 나타날 것인지를 각 세부 지역별 홍수 취약성 분석을 통해 파악, 치수 우선순위 선정 및 적정 홍수방어 대책수립의 근거를 제시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향후 이 시스템을 통해 새로운 홍수대책이 도입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즉 하천의 제방 위주의 선적개념에 머물러 있던 홍수대책에서 진일보하여, 홍수로부터 ‘방어할 지역’과 ‘피해를 최소화 시킬 지역’을 분류하여 각 상황에 맞춰 대응책을 세울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일반시민들도 집안에서 인터넷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재해 상황에 따른 위험지역, 취약지역을 지도로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안전한 대피로 정보 등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에서의 홍수위험 관련 정보도 제공받을 수 있다.

연구원 측은 “국토해양부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인명피해가 많이 난 곳이 비슷한 지역인 것으로 확인됐다. 1975년에서부터 2005년 사이 35년간 최대 홍수 피해액이 발생한 곳 역시 거의 같은 장소였다. 여기에 최근 들어 이상기후로 인해 한 지역에서는 비가 많이 오고 인근지역에서는 비가 전혀 안 오는 등 지역적 기상 차별현상도 심화되고 있어 이상기후에 대처하는 맞춤형 홍수대책이 시급한 실정이었다”면서 “이번 연구 성과를 통해 실제 예상되는 위험과 취약정도를 시스템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후 복구 위주의 방재 정책이 아닌, 사전의 예방ㆍ대비 차원의 수요자중심의 방재행정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