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scape Times 김효원 기자] 고령자도 쉽고 편하게 걸을 수 있는 보행정책과 보행유관 사업에는 필수적으로 보행성 평가를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서울연구원의 정책리포트를 통해 제기됐다. 

서울연구원 이신해 선임연구위원과 정상미 연구원이 ‘걷는 도시, 서울’ 정책효과와 향후 정책방향이라는 주제로 14일(월) 정책리포트를 발행했다. 

시는 지난 2012년부터 다양한 보행사업들을 순차적으로 시행하고 2016년부터는 본격적으로 ‘걷는 도시, 서울’이라는 종합계획을 세워 보행친화 정책을 극대화했다. 보행자 우선도로나 모든 방향 횡단보도 설치, 서울로7017와 같은 대표보행거리 조성, 교통약자를 위한 보행환경조성 등 4개 분야 35개 사업이 진행됐다.

보행정책의 효과는 대중교통 이용객 수, 유동인구, 매출액을 지표로 종합적으로 평가됐다.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세 지표 모두 과년도에 비해 증가했으며, 시 전체 평균 증가율보다 높았다.

2011년 대중교통 이용객 수는 일별 160만 통행량이 2018년 기준 173만으로 약 8.6% 증가했다. 유동인구는 2017년 2분기 기준 644만 명/ha에서 2018년 2분기 809만 명/ha 로 25.7% 증가했고, 이는 시 전체 유동인구 평균 증가율인 18.8%보다 6.9% 많은 수치다. 매출액 역시 2017년도 2분기 260억 원에서 2018년 2분기 282억 원으로 1년에 8.6% 늘어났다.

꾸준한 보행사업 시행으로 지역 내 유동인구 확대와 매출액 증대로 연결돼 지역 활성화에 기여가 높았다는 평가다.

이에 따라 서울연구원은 ▲보행환경을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하고 ▲여건변화를 고려한 대중교통시설의 주변지역을 정비하며 ▲보행 유관정책 수행시 보행성 평가를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고령화가 가속되는 사회 여건을 고려해 고령자 친화적인 보행정책을 시행하고, 정보의 시인성을 높이는 유니버설디자인 등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교통 외 도시, 주택 등 모든 분야에서 보행성 평가를 필수적으로 시행해 정책 효용을 최대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제는 사업 별 개별적 평가가 아니라 전체 보행사업의 전반적인 평가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기존에는 보행 안전성, 연결성, 만족도 조사 등 한정적인 개별 보행사업의 평가방식을 배제하고, 전체 평가를 위해 정량적 항목에 대한 효과평가를 분석 후, 향후 시에서 나가갈 보행정책 방향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한국조경신문]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