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4월 29일 8개 콘텐츠안을 선정·발표했던 '용산공원 콘텐츠 선정 및 정비구역 변경 공청회' 모습

용산공원에 도입할 예정이던 8개 콘텐츠안이 전면 백지화됐다. 아울러 2027년 완공 목표가 아닌 수 세대에 걸쳐 내용물을 채워나가는 진화하는 공원으로 목표를 수정했다. 그러면서 소통 채널을 다양하고, 민간이 주도하는 공론의 장을 마련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4일과 25일 용산공원조성추진위원회와 출입기자단을 대상으로 이 같은 내용의 용산공원 관련 기본방향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한 내용은 크게 3가지다. 첫째는 확정된 설계안을 지양하고, 2027년 조성 완료라는 의미보다 기본적인 틀과 토대 마련에 중점을 두면서 공원의 내용물은 몇 세대에 걸쳐 채워가며 진화하는 공원 조성을 목표로 하겠다는 것이다.

둘째는 소통 채널을 다양화하고 민간이 주도하는 공론의 장을 마련할 계획이다. 공원 이웃 주민과 일반 국민에 대한 의견수렴과 역사·조경·건축 등 각 분야 전문가들 대상으로 한 토론회 정례화, 서울시·국방부·문화재청 등 관계 기관과 실무협의 등을 강화하기로 했다.

셋째는 용산공원에 도입하기 위해 검토하던 콘텐츠안의 백지화다. 지난 4월 공청회를 통해 보존가치가 있는 80여 개 건축물의 재활용 차원에서 8개 콘텐츠 도입을 검토했지만, 다양한 의견수렴 과정을 통해 7개월 만에 백지화했다. 특히 공원에 건축물을 신축하지 않고, 기존 건물에 대한 활용 방안도 전면 재검토하기로 했다. 기존 건물 활용 방안은 시간을 두고 전문가 검토, 관계 기관 협의, 국민적 공감대를 거쳐 판단할 계획이다.

이날 국토부가 발표한 내용에는 용산공원 조성 과정을 두고 정면으로 충돌하는 서울시 의견을 상당 부분 반영했다. 이는 서울시와 뜻이 함께하는 시민단체, 용산 지역구 국회의원인 진영 의원을 비롯한 더불어민주당 등이 부담감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시는 국토부의 8개 콘텐츠안 선정을 두고 강하게 충돌한 이후, 지난 8월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총출동한 가운데 ‘용산공원 국회토론회’를 갖고 용산공원 조성 방식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며 국토부를 압박해 왔다.

한편 국토부 발표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시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요구사항 중 일부만 반영된 결과이며, 특히 국토부는 25일 발표 이후 우리에게 의견을 묻거나 향후 방안을 논의 또는 제안해 온 게 없다”며 “국토부의 향후 대응과정을 좀 더 지켜본 후 서울시 견해를 밝힐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서울시는 온전한 형태의 용산공원이 조성될 수 있도록 ‘용산공원특별법’ 개정을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용산공원 모형도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