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와 대구시가 내년부터 조경식재공사에 대해 ‘준공 후 유지관리’를 적용키로 했다. 우울한 조경계에 단비 같은 소식이다.

‘준공 후 유지관리’ 문제는 식재공사업계의 현안 중 하나로 (사)한국조경사회 부산시회와 (사)한국조경사회 대구·경북시도회에서 각 지자체장 혹은 담당 부서와 간담회를 통해 정책반영을 제안했고, 시에서 이를 수용한 결과여서 의미는 크다고 할 수 있다. 지역 조경단체의 필요성을 확인하는 대목이다.

창립 2년 차를 맞은 (사)한국조경사회 울산시회 역시 올해 초 울산시의회와 간담회를 통해 ‘준공 후 유지관리’를 요구했고, 대구와 부산의 시행을 계기로 10월 1일 울산시 공원녹지과를 방문해 정책 시행을 압박했다.

현재 ‘준공 후 유지관리’를 반영하고 있거나 계획하는 곳은 서울, 대구, 부산이 유일하며 울산도 움직이고 있다. 이들 지자체는 공교롭게 지역 조경인을 아우르는 조경단체인 (사)한국조경사회 지부가 각각 결성된 곳이다.

이들 한국조경사회 각 지부는 시공, 자재, 설계 등 조경업계를 아우르는 조직으로 회원 간 친목과 화합은 물론 지자체 담당 부서와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조경정책 제도 개선을 요구하는 등 조경계의 이익을 대변하는 단체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다. 이런 활동의 결과가 ‘준공 후 유지관리’를 시행하게 한 원동력이다.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조경단체의 필요성은 ‘준공 후 유지관리’ 시행을 넘어 최근 논란이 되는 LH 공공임대 리츠사업의 통합발주 문제 같은 조경계 현안에 대응하는 데 큰 힘으로 작용할 것이다.

하지만 한국조경사회는 서울 본회 외에 부산, 울산, 대구·경북 등 3개 지회가 전부다. 각개전투로 힘겨워 하고 있는 지역 조경인을 위해 나아가 전국 조경계를 아우를 수 있는 조경단체를 위해서라도 지역 조경단체의 설립은 꼭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