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서울시가 한강의 자연성을 회복하고 관광 자원화하기 위해 2019년까지 여의도와 이촌 지역에 4000억 원 가량을 투입한다.

서울시와 기획재정부 등은 24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한강협력회의를 열어 ‘한강 자연성 회복 및 관광 자원화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지난해 9월 정부가 한강을 종합 개발하겠다고 밝힌 후 기획재정부 등 정부부처와 연구기관, 서울시 등이 팀을 꾸려 1년간 구상한 결과다.

정부와 서울시는 한강을 7개 권역(마곡-상암, 합정-당산, 여의-이촌, 반포-한남, 압구정-성수, 영동-잠실-성수, 영동-잠실-뚝섬, 풍납-암사-광진)으로 나눠 권역별 사업을 특화해 추진하기로 했다.

▲ 7개권역 구상도<자료제공 서울시>

우선으로 집중 개발 지역으로 선정된 곳은 여의-이촌 권역이다. 41.5㎞ 길이의 한강 서울 구간 중 최종적으로 관광 유발 효과가 가장 클 것으로 판단됐기 때문이다. 여의도권은 다른 지역보다 유동인구가 많고 접근성이 뛰어난 데다 연계할 수 있는 관광 시설이 풍부하다고 평가됐다.

정부와 서울시는 여의도권을 우선협력거점으로 지정하고 자연성 회복 및 수변문화지구 조성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와 서울시는 재원을 절반씩 부담해 여의-이촌 권역에 2019년까지 총 3981억 원(민자 1462억 원 포함)을 투입하기로 했다.

▲ 여의샛강 합류부 생태거점화 조감도<자료제공 서울시>

우선하여 정부와 서울시는 자연성 회복을 위해 여의 샛강 합류부에 자연형 호안과 생태숲·갈대·물억새 등을 만들기로 했다. 한강 수변에는 3개의 ‘한강숲’도 조성한다. 여의지구 한강 둔치에는 관광객들이 이용하는 ‘이용숲’을 만들고 여의샛강 합류부에는 생물 서식처 제공 기능을 담당할 ‘생태숲’을 자동차전용도로 인근에는 ‘완충숲’을 조성한다. 이촌지역 인공호안은 철거해 자연하안으로 재정비한 뒤 생태·논습지와 버드나무숲을 만들기로 했다. 탐방로와 수변데크, 쉼터, 다목적 운동공간도 설치된다.

▲ 여의마루 조감도<자료제공 서울시>

마포대교와 원효대교 사이에는 다양한 문화·관광·편의시설 등을 갖춘 수변문화지구 ‘여의마루’(가칭)가 조성된다. 통합선착장·접안시설·요트계류장·카페·상점·레스토랑·야외공연장 등을 갖춘 부두형 수상데크인 ‘피어데크’가 들어서고 육상·수상 교통 환승객들의 편의를 위해 여의나루역에서 피어데크까지 이어지는 보행데크도 설치된다.

홍대·합정, 노량진 수산시장 등 주변 명소 및 관광지 등과 연계하는 접근 수단을 확충하기 위해 리버버스(고속 페리), 공원순환 전기관람차, 수륙양용버스(홍대~합정~여의) 등도 선보일 계획이다.

▲ 여의테라스 조감도<자료제공 서울시>

윤중로 변에 한강을 조망하며 휴식할 수 있는 ‘여의테라스’도 조성한다, 여기에는 이동형 문화 편의시설인 ‘무빙스토어’와 카페, 레스토랑, 상점 등이 들어선다. 대중문화 콘텐츠 전시장과 영상·음악 창작 공간, 이벤트홀, 기념품 가게 등을 갖춘 복합문화시설 ‘문화공간이음’도 조성된다. 올림픽대로와 샛강으로 단절된 노량진과 여의도를 잇는 보행교도 설치된다.

정부와 서울시는 다른 권역에 대해서도 단계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최경환 경제부총리는 “더 많은 관광객이 한강을 찾아와 이용하는 과정에서 문화, 유통, 스포츠, 레저, 예술 등 분야에서 일자리가 생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제2의 한강의 기적’은 먼저 자연성을 회복하고 관광 자원화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와 서울시는 이 사업으로 2030년까지 한강 이용자가 연간 6500만 명에서 1억 명 이상으로 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외국인 관광객의 한강 방문 비율이 현재 12.5%에서 청계천 수준인 20%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강공원의 녹지율 또한 현재 57%에서 64%까지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7개 권역별 구상도

▲ 마곡-상암<자료제공 서울시>
▲ 합정-당산<자료제공 서울시>
▲ 반포-한남<자료제공 서울시>
▲ 압구정-성수<자료제공 서울시>
▲ 영동-잠실-뚝섬<자료제공 서울시>
▲ 풍납-암사-광진<자료제공 서울시>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