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주민참여 활성화’를 위해서는 항상 다양한 매체를 통한 홍보, 교육과 학습이 병행되어야 한다. 도시재생 전담조직이나 도시재생지원센터, 혹은 주민협의체가 만드는 신문, SNS는 물론 순천과 같이 ‘도시재생대학원대학’이나 ‘도시재생아카데미’, ‘도시재생대학’, ‘도시재생학교’ 등 다양한 명칭을 사용하여 주민들에게 도시재생을 소개하고, 현장을 바탕으로 도시재생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의 실질적인 학습이 되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거점공간이 필요하게 되며, 여기에는 도시재생지원센터가 자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원업무는 물론 다양한 이벤트, 전시, 워크샵은 물론 다양한 지역정보를 주고받는 교류의 거점으로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도시재생 테스트베드 지역이었던 창원이나 전주에서도 도시재생신문을 발행하기도 하였지만 지속되고 있지 못하다. 그 이유는 행정이나 도시재생사업단에서 주민 스스로 만드는 구조가 아니라 주민으로 조직을 구성하도록 추진하였기 때문에, 주민 스스로 신문을 만들자는 얘기가 나오거나 (가칭) ‘주민기자’가 되어 도시재생 관련한 지역 기사를 취재하고, 편집 및 디자인하여 신문을 인쇄하는 과정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주민참여나 주민주도는 말과 글로만 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 행위가 담보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해서도 행정이나 도시재생사업단에서 ‘(가칭)◯◯도시재생대학’이라는 교육과정을 만들어, 주민을 교육시키는 형태는 일반적인 형태이다. 그러나, 일방향으로 진행되는 ‘교육’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교육을 통해 주민들로 하여금 다양한 학습 동기를 부여해야 하며, 부여된 학습 동기가 다양한 학습모임, 자발적인 견학모임 등으로 분화되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이때, 지역대학의 교수나 대학(원)생들이 자연스럽게 유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해당 지자체만의 구조를 잘 설계해야 하며, 이를 통해 지역의 일을 지역에서 해결할 수 있는 기반을 다져나가야 한다. 이 ‘구조’라는 것은, 지역주민에 해당하는 일반 주민, 상인, 근로자, 노동자, 취약계층, 청소년, 어르신 등 다양한 유형의 주민이 어색하지 않고 거리감을 갖지 않도록 설계된 ‘구조’여야 한다는 것이다.

불행히도, 제도권에서는 이러한 ‘구조’를 잘 설계할 수 있도록 마련된 교육과정이 없으며, 그러한 교육이 실시된 경우도 없으므로, ‘도시재생’을 통해 지자체가 이러한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

지금 필자는 모 지자체의 도시재생 전략 수립을 위한 집중검토회의를 총괄하면서 쉬는 시간이 이 글을 쓰고 있다.

웅성웅성거리는 참여 주민들의 모습을 보고 들으면서, 지역의 문제를 지역주민들이 바꾸는 지역사(地域史)적 순간에 자리하고 있다.

도시를 되살린다는 것이 ‘가이드라인’만으로 된다면 어느 도시나 그 구도심이 살아났어야 한다. 하지만 현실은 그리 만만하지 않다. ‘가이드라인’은 ‘가이드라인’이며, 도시재생을 추구하고자 하는 지자체는 자신들의 여건에 맞게 변형한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것을 염두에 두고 추진하여야 한다.

주민과 행정과 전문가가 하나의 틀을 놓고 이에 맞추려고 노력을 하는 것보다, 그 틀을 놓고 해당 지역에 맞는 변형된 틀 – 지역 입장에서는 맞춤형 틀이지만, 중앙의 틀을 기준으로 하면 ‘변형’이 되기 때문 –을 잘 고민하여 만들어 가야 하는 것이다.

그러한 움직임이 지역의 모습, 지역의 풍경을 더 나은 것으로 만들어 가는 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므로, ‘지역적인 경관’이 만들어 진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으로, 도시재생과 관련한 가이드라인에 대한 글을 일단락 짓고자 한다.

오민근 집필위원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