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4조원이 투입되는 ‘4대강 살리기 사업’에 시동을 걸었다.

‘대운하로 연계되는 게 아니냐’며 반대하는 의견도 있지만, 정부는 경제살리기와 일자리창출이라는 명분을 업고서 5월말까지 마스터플랜을 완성할 것이라며 속도를 내고 있다.

‘죽지도 않은 4대강’을 굳이 ‘살리기’로 마음먹은 정부에게, 기왕 살리기로 했으면 제대로 살려줄 것을 당부한다.

80년대 한강종합개발계획에 따라 파헤쳐졌던 한강은 지금 ‘물순환시스템이 왜곡되고, 돌이킬 수 없이 생태계가 파괴되었다’는 보고가 이어지고 있다. 20년 넘게 흘러서야 그때 붙여두었던 콘크리트를 걷어내느라 또 혈세를 붓고 있다. 세금이 문제가 아니라 파괴된 생태계는 어떻게 복원해야 한다는 말인가?

정부는 여러 측면에서 볼 때 ‘4대강 살리기’를 차선책으로 접근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앞선다. ‘대자연’을 개발함에 있어서는 실용적, 경관적, 문화적 관점과 함께 ‘생태적 접근’ 또한 중요하다.

기본적으로 하도준설과 같은 반생태적인 사업이 포함돼 있으면서도 4대강 살리기는 ‘친환경’이라는 이미지를 내걸고 있다. 내용을 들여다보면 전문가들은 고민과 검증의 수준이 부족하다고 지적한다.

지금부터라도 생태복원·조경 전문가들을 참여시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살리기’를 추진해야 한다.
시간이 더 걸리더라도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시공 중이라 할지라도 미흡한 부분에 대한 보완을 미뤄서는 안 된다는 의견도 귀담아 들어야 할 것이다.

아쉬운 것은 여태 그런 소통이 없었다는 것이다. 생태복원·조경분야 뿐만 아니라 하천 및 토목분야에 이르기까지 전문가 집단의 참여 없이 '4대강은 일방통행'이라는 불만들이 곳곳에서 들려오고 있다.

이제 살리기로 했으면 ‘제대로’ 살려야 한다. 우리는 4대강 사업이 불행한 역사를 반복하지 않기를 바라고 있다.

 

논설실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