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가 올해 생태성 복원 정책을 위해 잔디도랑, 투수성 포장, 공원녹지 일체화, 테라스 녹화(시계방향) 도입을 추진키로 했다.

 

부산시는 2013년을 ‘환경녹지정책 대전환’의 원년으로 선언하고 기존 외형과 경관, 녹지중심 정책에서 수체계의 연계성과 자연성 중심인 생태성 복원 정책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양적인 성장에서 벗어나 도시 전역에 맑은 물이 흐르고 자연이 본래의 기능을 회복하는 ‘물순환 생태도시 부산’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이에 부산시 환경녹지국은 물순환 생태도시 조성을 위한 정책방향을 마련하고, 올해 국에서 추진하는 사업에 적용해 나갈 계획이다. 각 부서의 사업계획 수립 시 정책방향 반영 여부를 심의 또는 자문한 후 사업추진에 나서게 된다.

이번에 마련되는 정책방향은 ▲원형 보전 및 원래의 모습을 살린 복원 등 생태학적 프로세스를 보전·보호하는 ‘자연생태기능 회복’ ▲생태복원사업 시 물순환체계계획을 수립하고 해당 요소들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물 순환체계 요소간의 연계성 검토’ ▲화단·녹지 등 수목식재지 빗물 활용 등 도시 녹지 내에 물을 수용·저장토록 하는 ‘물 재이용 및 관리기반 구축’의 3개 분야 14개 항목으로 구성돼 있다.

특히 ▲수(水)공간(저류지, 생태연못, 빗물이용시설, 습지, 수변완충수림대) ▲공공부문(가로수, 도로, 주차장, 공원, 도시숲, 학교숲, 완충녹지, 그린웨이) ▲건축물(생태학적토지이용 및 건축물 배치, 조경녹화계획, 중수도, 건축계획) 등 17개 분야에 대해 중점 추진된다.

세부내용을 보면 도시산림·녹지분야의 지속가능한 생태성 강화를 위해 공원녹지율 확충의 양적 개념에서 탈피, 자연배수체계 의무도입(가로수 주변 등)이 추진된다.

도시산림녹지 내 유수녹지를 설치하고 강우시 발생된 빗물이 모여 일시적인 실개울을 형성하다 지하로 침투외는 식생피복 배수로인 우수저류형 잔디 도랑 설치, 다공성 배수관을 통한 지반으로의 유수 침투성 증대를 이용해 지표 유출량의 감소를 유도하는 침투수로나 침투트렌치를 도입하고 빗물을 지하로 침투시키는 투수성 포장 의무 도입 등이 이에 해당된다.

또 도심건물에 공원, 도로변 녹지 등 완충공간을 조성하고 공원·녹지 체계를 녹지선형으로 조성하는 등 일체화(녹도)도 추진된다. 도심 바람통로 권장과 그린매트릭스시스템과 같은 도시내 녹지 재구축 시스템 적용도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식생필터, 인공집수파이프, 우수연못 저류지 등 빗물이용 처리 및 비점오염원 관리형 사업을 추진하고 빗물을 이용해 빗물정원을 만들고, 저류조 및 가로수 식재 시 빗물이 고이고 스미도록 오목형으로 변경 조성하는 등의 방안을 적극 도입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도시하천·습지 복원을 위한 새로운 보전·복원 시스템도 도입된다.

복합기능 도시하천·습지 조성을 위해 ▲자생 수생식물 식재, 하천의 자연성 유지 ▲인공 부도섬(Floating Island)을 통한 임시 조류 서식지 ▲하천변 갈대식재와 어류산란장 ▲ 돌무더기 장작 쌓기 등 양서류 및 곤충 서식지(곤충모텔) 조성 ▲점적 파편형 습지조성 지양 ▲하천 둔치 내 수질정화형 습지(천변저류지)의 조성 등이 추진된다.

또 유역과 빗물관리시설 연계한 홍수관리형, 자연지형·자연유하·하천의 곡류성 유지를 통한 하천습지의 수평적 복전 복원, 역사적 유적과 하천 등 수계 결합 추진, 사업 전 식생조사 선행 등이 추진될 예정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환경녹지정책 대전환은 기존 외형과 경관 중심의 정책에서 수체계의 연관성과 자연성을 중시하는 생태성 복원 정책으로 전환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라고 밝히면서, “올해 환경녹지국 소관 사업에 시범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한 후 시 전체 사업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