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주간지 일요서울은 지난 30일 발행된 제926호 신문 18-19면에서 현재 서울시가 추진하고 있는 우면산 산사태 복구공사를 비판하는 ‘우면산 산사태 인재 의심한 박원순 시장, 또 한번 인재 맞을 뻔’ 제하의 기사를 보도했다. 1면 표지에는 ‘단독(특종)’으로 편집돼있어 서울시와 박원순 시장이 마치 큰 실수를 한 것처럼 전달되는 분위기다.

그러나 모든 제목에서 ‘~쓰일 뻔’ ‘~당할 뻔’ ‘~맞을 뻔’이라고 쓴 것처럼, 실제 일어나지 않은 일을 미리 부실공사로 둔갑시키는 뻥튀기 형식으로 그려져 독자들에게 실망을 안겨줬다. 편집이 전해주는 심각성과는 달리 기사에서 지적한 사례들은 우리나라 조경 현장과 동떨어진 내용들로 채워졌으며 논리의 타당성 또한 찾아보기 힘들었다.

일요서울은 우면산 산사태 복구공사 초창기 때 석재의 원산지 증명 확인 절차가 늦어졌으며, 이로 인해 하마터면 외국산 값싼 석재가 국내산으로 둔갑되는 상황을 맞을 수도 있었다는 논리를 폈다. 기사를 끝까지 읽어본다면, 외국산 석재가 사용됐다는 것도 아니고, 원산지 증명이 없다는 것도 아니다. 그러면서 일요서울은 ‘또 한번 인재 맞을 뻔’이라고 부실시공 뉘앙스를 풍겨댔다.

우선 일요서울의 기사를 살펴보자.
‘우면산 산사태 복구 현장에서 사용되는 석재 또한 조경석으로 ‘서울특별시조경전문시방서’에 따라 반입 시 반출증과 계량증명서를 갖춰야 한다. 하지만 이중 강원도 영월에서 반입된 석재 일부가 공사 초기에 석재회사가 발행한 반출증 없이 현장에 반입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후 서울시는 반출증 없이 반입된 것을 확인하고 반출증을 나중에 받은 것으로 확인돼 공사 감독의 부실을 드러냈다’

기사의 내용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계량증명서를 먼저 받고 반출증을 늦게 받은 사실을 공사품질의 부실로 연결시키는 것은 비약이다. 계량증명서와 반출증의 상관관계를 볼때 원산지를 ‘강원도 영월’로 해석하는 데에 무리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기사가 지적한 것처럼 9월 중순에서 10월 초까지 반입된 일부 영월석에 한해서만 반출증을 나중에 받은 것이므로 원산지를 의심할 상황도 아니다. 그럼에도 3개월이 넘은 현 시점에서 원산지가 조작되었다는 아무런 정황적 증거가 없는 상황인데도 ‘하마터면~’ 식의 기사를 썼다는 것은 올바른 행정을 견제하기 위한 언론의 역할에서도 크게 이탈했다.

기사에서 우려한 것처럼 ‘석재회사가 나쁜 마음을 품고 외국산 돌을 납품했다고 하더라도 원산지를 확인할 수 없어 자칫 값싼 석재를 비싸게 주고 살 수도 있었다’는 기사의 추론 역시 현실과 동떨어져 있는 것이다.

조경시방서에서 정하고 있는 ‘계량증명서’는 자연석 산지에서 상차 직후 현지 계량소에서 발급받는 것으로써, 보통 25톤 화물차에 몇 톤의 자연석이 실려 있는지 물량을 확인하는 서류다. 설령 반출증 제출이 늦어졌다고 하더라도 해당 자연석이 원산지와 다른 곳에서 반입됐다고 의심할 여지는 극히 드물다. 현재 우리나라 자연석 유통시장은 지역별 브랜드가 형성돼 있어서, 온양석·영월석·보령석·거창석 등으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이들 자연석들은 높은 운반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중간 하치장을 거치지 않고 대부분 석산에서 직송되는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우면산 복구공사에는 영월석과 온양석이 사용됐지만, 일요서울이 지적했던 영월석은 초창기에 일부 반입되었을 뿐 현재는 온양석만 반입되고 있다.

또 일요서울이 부실사례로 들었던 ‘광주지하철역사의 중국산 석재’는 ‘실내바닥용 가공 판석’을 말한다. 우면산에서 산사태 복구공사 자재로 사용되고 있는 돌쌓기용 자연석과는 전혀 다른 품목인 것이다. 자연석 납품가격 중에서 운반비가 절반을 넘어서고 있는 현실에서, 아무리 원재료 값이 싸더라도 중국산이 설 자리는 없다. 원석 자체로는 부가가치가 낮아서 배값 등 운반비를 건질 수가 없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우면산 산사태로 인해 언론으로부터 집중포화를 받았다. 그 후속대책에 대한 언론의 검증작업은 당연히 이뤄져야 한다. 그러나 일요서울처럼 근거 없는 뻥튀기 보도와 자극적인 편집으로 인해 하마터면 진실이 왜곡될 ‘뻔’ 기사는 자제되어야 마땅하다.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