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본 동북부지역에서 발생한 대지진과 쓰나미로 인해 엄청난 재산 및 인명 피해를 당해 고통을 받고 있다. 대자연의 위력 앞에 문명의 개발이 얼마나 나약한지를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줬다. 최악의 지진과 쓰나미로 도시가 파괴되고 침수되는 와중에도 공원녹지의 필요성에 대해 생각하게 만들었다.

일본의 대지진 이후 강력한 여진이 계속되면서 시민들이 공원으로 몰려나왔다고 한다. 지진 발생 시 대피 장소로 주변공원이 지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 쓰나미로 침수 피해를 본 센다이공항의 경우 강력한 쓰나미의 위력에 비해 피해가 크지 않았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해안가에 조성된 방풍림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쓰나미의 파괴력을 방풍림이  일정 정도 완충시켰기 때문이다.

지난해 중국 장쑤성 난징시에서는 지진공원을 조성하기도 했다. 지진공원은 평소에 시민들 휴식 공간으로 활용되다가 지진 발생시 대피장소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듯 공원은 단순히 시민들의 휴식 공간에만 머무르지 않고, 대자연의 위협을 완충해주는 역할까지 하고 있는 것이다. 또 도시공원은 청소년문제, 노인문제, 일자리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는 문화의 공간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공원의 사회적 가치가 높아지고 있고, 저탄소 녹색성장을 정책적 목표로 추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원녹지 확충에 대한 중앙정부의 반응은 아직도 싸늘하다.

지자체 사업이라서, 관련 법적 근거가 없어서, 지역적 형평성 때문에 등 다양한 논리를 내세워 강건너 불구경 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산업시대 인프라가 도로였다면 지금의 녹색시대 인프라는 공원녹지 임을 명심하고 보다 더 적극적인 자세로 공원녹지를 바라보길 바란다.

키워드
#조경 #공원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