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시 구좌읍 덕천리 소재의 웅덩이형 산림습원으로 규모는 0.2ha이며, 희귀식물인 가는물부추가 서식하고 있다.

산림 내에서 소생물권(Biotope)을 이루며 생물 다양성이 풍부한 것으로 꼽히는 ‘산림습원’이 추가로 확인됐다.

산림청은 제주와 영남지역 공·사유림에서 ‘산림습원’ 129곳, 34.19㏊를 새로 발견했다고 27일 밝혔다.

이중 26곳은 보전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순채, 자주땅귀개, 제주고사리삼, 끈끈이주걱, 가는물부추 등 희귀식물도 18곳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별로는 제주지역이 45곳(7.49㏊)으로 가장 많았다.

산림습원은 산림생태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곳이지만 그동안 국유림에서만 조사가 이뤄져 전국 산림의 76%에 달하는 공·사유림은 관리 주체, 소유권, 개발 등의 이해관계가 복잡해 체계적 조사나 관리가 어려웠다.

산림청은 이에 따라 전국 산림에 분포하는 산림습원을 체계적으로 보전·관리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경남, 부산, 울산, 대구, 제주 등 5개 지역 공·사유림 84만321㏊를 대상으로 조사를 벌였다.

그 결과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 산림습원의 경우 고산평지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형태의 산지형 습원으로 골풀, 기장대풀 등이 서식하고 있었다. 또 울산 북구 중산동에서 발견된 습원은 계단식 폐경지에 형성된 묵논습지 형태로 보존가치가 높았다.

조사를 주관한 박광우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장은 “조사된 산림습원은 묵논형 습지가 가장 많았는데 이는 이곳이 과거 논·밭 등으로 경작되다가 방치된 뒤 묵논으로 변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산림청은 올해 호남권 공·사유림을 시작으로 2014년까지 5년간 486만ha에 이르는 전국 공·사유림 내 산림습원을 단계적으로 조사할 계획이다.

아울러 조사된 산림습원 자료는 산림공간지리정보시스템(FGIS)과 연계해 인터넷 등을 통해 일반에 공개할 예정이다.

오기표 산림청 산림환경보호과장은 “산림습원 조사는 기후변화 대응 및 산림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한다는 의미에서 매우 가치가 있다”며 “새로 조사된 산림습원 중 보전가치가 높은 26곳은 해당 지자체에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해 관리해 주도록 요청하고 국유림과 인접한 곳은 국가가 우선 매수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2010년도 제주·경남·대구지역 공·사유림 내 신규 산림습원 현황 

구분

행정구역

개소

조사면적

(ha)

습원면적

(ha)

습원비율

1지역

서귀포시, 제주도

45

59,281

7.49

0.0126%

2지역

거제시, 고성군, 남해군, 마산시, 사천시, 진주시, 통영시

12

182,004

1.23

0.007%

3지역

거창군, 산청군, 하동군, 함양군

24

190,041

9.13

0.0048%

4지역

달성군, 의령군, 진해시, 창녕군, 창원시, 함안군, 합천군

29

191,545

4.73

0.0025%

5지역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김해시, 밀양시, 양산시

13

195,129

10.99

0.0056%

6지역

대구

6

22,321

0.61

0.0028%

합 계

129

840,321

34.19

0.0041%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