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국립수목원은 우리나라 자생식물 중 기후변화에 취약한 식물 300종을 선정하고, 각 종에 대한 정보 등을 담은 ‘한반도 기후변화 적응 대상 식물 300종’을 발간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결과는 산림청과 국립수목원이 2003년부터 2010년까지 8년간 ‘한반도 관속식물 분포 연구’, ‘한반도 표본인프라 구축 사업’, ‘한반도 자생생물상 분포 연구’ 등의 과제를 수행하면서 얻어냈다.

선정된 300종은 남방계식물, 특산식물, 북방계식물 각 100종씩이다.

남방계식물은 북위 35도 이남지역에 분포하며 기후변화에 적응해 개체군의 증가 및 분포역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동백나무, 참식나무, 붉가시나무 등이 선정됐다.

특히 특산식물과 북방계식물은 기후변화가 진행될수록 점차 취약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우리나라에서만 볼 수 있는 특산식물은 기후변화로 인해 분포지 변화 또는 멸종 가능성이 높은 금강초롱, 모데미풀, 자주솜대 등이 포함됐다.

북방계식물로 고산 및 아고산지역 등에 주로 분포하며 개체수 감소, 분포지 축소 및 남방한계선의 북상 등이 예측되는 주목, 분비나무, 눈잣나무 등이 선정됐다.

이와 함께 국립수목원은 이번에 발간된 ‘한반도 기후변화 적응 대상 식물 300종’은 기후변화에 취약한 산림식물종의 현지 내·외의 보전·관리 및 모니터링을 수행하는데 많은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우리 식물의 주권확보 ▲특산식물의 정확한 자생지 및 개체수 파악 ▲남방계 및 북방계 식물의 분포한계선 파악 ▲기후변화에 따른 식물종의 분포역 확대 및 퇴행 경로 예측 ▲기후변화 취약종의 합리적인 보존 대책 수립 등 다양한 연구 및 정책 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김용하 국립수목원장은 “한반도 기후변화 적응 대상 식물 300종을 뽑아 펴낸 책은 기후변화에 대응한 국내 최초의 자생식물 분포 연구 자료다”며 “자생식물자원의 모니터링, 보존, 관리를 위한 식물자원연구 분야의 디딤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 원장은 “앞으로 이 책은 기후변화 취약 산림식물종 모니터링사업 등에 적극 활용하고 연구도 강화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한반도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 300종 목록

(1) 특산식물 : 고지 또는 저지에 고립되어 분포하는 남방계 및 북방계의 잔존성 특산식물, 제한된 특정지역에 분포하는 특산식물

- 대상종 : 제주고사리삼, 구상나무, 삼도하수오, 울릉장구채, 세뿔투구꽃, 진범, 홀아비 바람꽃, 나제승마, 외대으아리, 요강나물, 할미밀망, 변산바람꽃, 새끼노루귀, 섬노루귀, 모데미풀, 바위미나리아재비, 금꿩의다리, 매자나무, 섬매발톱나무, 개족도리풀, 무늬족도리풀, 매미꽃, 섬현호색, 갈퀴현호색, 점현호색, 남도현호색, 섬장대, 벌깨냉이, 속리기린초, 누른괭이눈, 꼬리말발도리, 나도승마, 구실바위취, 한라개승마, 지리터리풀, 섬벚나무, 섬나무딸기, 떡조팝나무, 개느삼, 좀땅비싸리, 해변싸리, 솔비나무, 노랑갈퀴, 나래완두, 큰세잎쥐손이, 두메대극, 처진물봉선, 좀갈매나무, 섬피나무, 섬시호, 섬바디, 한라참나물, 금강봄맞이, 참좁쌀풀, 설앵초, 미선나무, 만리화, 산개나리, 섬쥐똥나무, 섬개회나무, 흰그늘용담, 고산구슬붕이, 자란초, 섬광대수염, 참배암차즈기, 광릉골무꽃, 애기송이풀, 토현삼, 섬현삼, 섬꼬리풀, 봉래꼬리풀, 줄댕강나무, 청괴불나무, 넓은잎쥐오줌풀, 섬초롱꽃, 금강초롱꽃, 섬쑥, 눈개쑥부쟁이, 바늘엉겅퀴, 고려엉겅퀴, 지리고들빼기, 한라구절초, 갯취, 어리병풍, 자병취, 각시서덜취, 그늘취, 돌부추, 선부추, 좀비비추, 흑산도비비추, 자주솜대, 진노랑상사화, 붉노랑상사화, 위도상사화, 노랑붓꽃, 섬포아풀, 제주조릿대, 섬남성, 지리대사초

(2) 북방계식물 : 극동러시아, 중국 동북부, 일본 북부 및 한반도 북부 및 중부이북에 주로 분포하며, 식물의 특성 및 자생지 정보가 풍부하거나 정확한 식물

- 대상종 : 속새, 음양고비, 주저리고사리, 좀미역고사리, 전나무,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눈측백, 설악눈주목, 왜개싱아, 제비동자꽃, 긴개별꽃, 끈끈이장구채, 백부자, 노랑투구꽃, 들바람꽃, 회리바람꽃, 숲바람꽃, 검종덩굴, 개버무리, 큰제비고깔, 너도바람꽃, 왜미나리아재비, 연잎꿩의다리, 삼지구엽초, 한계령풀, 등칡,
피나물, 조선현호색, 꽃황새냉이, 는쟁이냉이, 둥근잎꿩의비름, 개병풍, 돌단풍, 꼬리까치밥나무, 도깨비부채, 톱바위취, 야광나무, 나도국수나무, 좀딸기, 개벚지나무, 흰인가목, 둥근인가목, 인가목, 꼬리조팝나무, 갈기조팝나무, 나도양지꽃, 애기자운, 연리초, 산새콩, 들완두, 붉은대극, 복장나무, 산겨릅나무, 복자기, 부게꽃나무, 금강제비꽃, 왕제비꽃, 분홍바늘꽃, 땃두릅나무, 등대시호, 독미나리, 붉은참반디, 꼬리진달래, 흰참꽃나무, 기생꽃, 비로용담, 과남풀, 닻꽃, 조름나물, 당개지치, 벌깨풀, 가는잎향유, 애기며느리밥풀, 냉
초, 털댕강나무, 개들쭉, 각시괴불나무, 구슬댕댕이, 돌마타리, 산토끼꽃, 솔체꽃, 만삼, 참쑥, 덤불쑥, 산흰쑥, 여우오줌, 큰엉겅퀴, 병풍쌈, 구와취, 국화방망이, 산마늘, 솔나리, 나도개감채, 종둥굴레, 층층둥굴레, 연영초, 노랑무늬붓꽃, 애기앉은부채, 앉은부채

(3) 남방계식물 : 북위 35도 또는 36도 이남인 중국과 일본의 남부, 한반도 남부 또는 중부 이남에 주로 분포하며, 식물의 특성 및 자생지 정보가 풍부하거나 정확한 식물

- 대상종 : 발풀고사리, 돌토끼고사리, 가지고비고사리, 큰봉의꼬리, 봉의꼬리, 제주지네고사리, 큰지네고사리, 더부살이고사리, 새우나무, 메밀잣밤나무, 구실잣밤나무, 붉가시나무, 종가시나무, 가시나무, 천선과나무, 좁은잎천선과, 왕모시풀, 나도물통이, 동백나무겨우살이, 남오미자, 흑오미자, 육박나무, 생달나무, 털조장나무, 까마귀쪽나무, 센달나무, 새덕이, 참식나무, 세복수초, 개승마, 왜승마, 옥녀꽃대, 섬다래, 비쭈기나무, 우묵사스레피, 좀현호색, 자주괴불주머니, 조록나무, 돈나무, 다정큼나무, 수리딸기, 장딸기, 섬딸기, 실거리나무, 된장풀, 비진도콩, 여우팥, 애기등, 큰여우콩, 여우콩, 예덕나무, 산쪽풀, 머귀나무, 검양옻나무, 산검양옻나무, 나도밤나무, 꽝꽝나무, 섬회나무, 먹넌출, 상동나무, 팥꽃나무, 백서향, 산닥나무, 보리장나무, 큰보리장나무, 이나무, 황칠나무, 갯강활, 갯사상자, 반디미나리, 참꽃나무, 모새나무, 백량금, 광나무, 상동잎쥐똥나무, 호자나무, 모래지치, 새비나무, 마편초, 둥근배암차즈기, 미치광이풀, 방울꽃, 아왜나무, 홍노도라지, 애기도라지, 좀딱취, 섬갯쑥부쟁이, 갯고들빼기, 추분취, 갯금불초, 실꽃풀, 맥문아재비, 목포용둥굴레, 백양꽃, 푸른갯골풀, 나도생강, 큰천남성, 대반하, 자란, 으름난초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