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가와 요이치 전무이사 <사진 배석희 기자>

‘2010 한일 옥상녹화기술 국제심포지엄’이 (사)한국인공지반녹화협회와 일본 (재)도시녹화기술개발기구 특수녹화공동연구회 공동 주최로 지난달 26일부터 28일까지 일본 도쿄에서 열렸다. 2년마다 양국을 오가며 개최되는 이 국제심포지엄은 올해로 4회째를 맞이했다. (재)도시녹화기술개발기구 설립 20주년 기념으로 진행된 행사를 공동으로 주최한 임승빈 한국인공지반녹화협회장과 오가와 요이치 (재)도시녹화기술개발기구 전무이사에게 한일 양국의 인공지반녹화에 대해 들어봤다.

한일옥상녹화기술 국제심포지엄이 갖는 의미는
한일 양국의 도시녹화 분야의 전문가나 실무자가 한자리 모여, 옥상녹화 기술에 관련된 정보교환, 기술 교류 및 친선을 도모하는데 의미가 있다.
한일옥상녹화기술 국제심포지엄은 2년마다 돌아가면서 개최하고 있으며, 심포지엄을 통한 기술 및 정보교류는 물론 현지답사를 통해 견문을 넓힐 수 있는 기회로 활용되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을 평가한다면?
4회째를 맞은 이번 행사에는 기술 교류회, 좌담식 공개 토론, 현지답사 등 빠듯한 일정 속에서도 심포지엄의 내용은 풍부하고 충실했다고 본다. 8년간의 행사로 참가자들이 친밀해져서 교류와 친선이 더욱 깊어졌다고 생각한다. 특히, 한국이 녹생성장을 기치로 전략적으로 도시녹화를 추진해 가고 있다는 부분과 서울시가 녹색도시 구현을 위해 여러가지 매력적인 사업을 종합적이고 계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사실에 매우 감명을 받았다. 좌담식 공개토론에서 도시녹화 전문가들의 발표 및 토론 그리고 의견교환을 통해 옥상녹화 나아가 도시녹화에 대해 함께 배우고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생각하다.

일본의 인공지반녹화기술의 장단점과 앞으로 과제는?
일본의 장점은 환경개선 효과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관점에서 계속 진화해 가고 있다. 특히 상업시설, 주택, 공장 등 용도별로 건축물에 새로운 기능을 부가하는 기술개발이 진행된다는 부분이다. 단점으로는 일부 도시의 의무화 제도로 인해 정비량이 많아지고 있는 한편, 식생을 충분히 유지할 수 없는 사례도 보여지고 있다. 또, 각종 자재의 장기적인 안정성에 대해서도 미흡한 부분이 있어 향후에는 경년변화(secular change)의 대응이 중요해질 것으로 생각된다. 옥상녹화나 벽면녹화를 더 발전시키고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이용자들이 접근하기 쉽고 이용하기 편리한 공간으로 조성되는게 중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심포지엄에서 발표했던 옥상 채소밭의 경우는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한국의 인공지반녹화기술의 장단점과 앞으로 과제는?
우선 한국의 인공지반녹화를 추진하는 전문가들에게 깊은 경의를 표한다.
한국의 인공지반녹화는 기술적인 연구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현재는 안정적인 녹화를 실현하고 있다. 또 생물다양성을 배려한 뛰어난 사례가 많고, 경관적으로 녹화를 활용한 상징적인 건물을 만들어내는 기술적 발상 등이 특히 우수하다.
단점이라면 앞서 말했던 일본의 문제와 비슷하다. 옥상녹화 공간과 그것을 지지해주는 자재의 장기적인 안정성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가칭)아시아인공지반녹화대상에 대한 입장은?
훌륭한 제안이고, 지금부터 구체적인 추진계획에 대해 준비해 가겠다. (재)도시녹화기술개발기구에서 주최하는 옥상·벽면·특수녹화에 대한 시상식이 내년이면 10년을 맞는다. 시상 대상을 일본으로 국한하지 않고 한국을 비롯해 아시아로 눈을 넓혀 나갈 계획이다. 한국에서도 많이 응모해 주길 바란다. 향후에는 한일 양국이 공동 주최하는 ‘아시아인공지반녹화대상’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으며, 이는 한일 양국은 물론 아시아의 옥상녹화 보급과 기술향상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