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 형태를 다각적인 시각으로 접근해 안정적인 농촌 삶을 지원하고, 나아가 시들어가는 농촌에 활기를 불어넣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충남발전연구원은 최근 충남지역의 귀농·귀촌 실태를 분석한 결과 충남의 귀농 인구가 전국 추세와 마찬가지로 2005년 이후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고 9일 밝혔다.

결과에 따르면 2009년을 기점으로 과거 9년 동안 충남에서 귀농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은 서천군(181세대)으로 나타났다. 이어 공주시(137세대), 논산시(126세대) 순이었다.

충발연 유학열 박사는 “귀농인구가 급증한 1997~2000년까지는 IMF 경제위기로 인한 생계형 전업농업 형태의 귀농이 많았다”고 밝힌 뒤 “2005년 이후에는 은퇴귀농형, 농촌지향형, 휴양요양형, 도시출퇴근형 등 생계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귀농·귀촌하는 경향이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유 박사는 특히 전국 도시민 2000명을 대상으로 농촌정주수요조사자료(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응답자 중 19.2%가 경기지역 농촌으로 이주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경남 11.4%, 강원 11.2%, 충남 9.1% 순이었다.

귀농·귀촌 이유에 대해서는 ‘은퇴 후 여가생활을 위해서’라는 응답(29.3%)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농촌이 살기 더 좋기 때문(25.6%)’, ‘나 자신이나 가족의 건강 때문(17.3%)’ 등의 이유를 들었다.

귀농·귀촌 시 가장 선호하는 지역으로 61.7%가 자연환경과 경관이 좋은 지역이라고 답했으며, 농촌 이주에 따른 생활환경의 불편함(36.9%)을 가장 걱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의료시설의 부족(36.0%)과 자녀 교육환경 부족(32.2%)을 가장 불편한 점으로 꼽았다.

또 귀농·귀촌 시 필요한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으로 생활여건 개선(38.3%)을 가장 원했으며, 그 다음으로 일자리 제공(15.3%), 농촌정착에 필요한 자금지원(14.6%) 등이었다.

한편 유 박사는 충남 귀농·귀촌 이주 행태를 심층 분석하기 위해 농산어촌의 특징을 지닌 15개 시·군(계룡시 제외) 총 30개 면을 대상으로 지난해 전입·전출자를 조사한 실시했다.

조사결과 충남 농촌지역(면지역)으로 전입한 자의 바로 전 거주지(전출지)는 동일 시·군에서 33.1%, 도내 타 시·군에서 15.8%, 타 시·도에서 51.1%로 나타나 절반 이상이 충남이 아닌 타 시·도에서 전입해 온 것으로 밝혀졌다.

시·군별 전입자의 전출지 분포 특징을 살펴보면, 천안시 광덕면과 수신면의 경우 인접한 충북으로부터의 전입이 뚜렷이 많았다.

아울러 공주시 반포면, 금산군 복수면·금북면의 경우는 대전시로부터의 유입이 전체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월등히 높았다. 서천군 마서면의 경우 전북지역으로부터의 유입이 타 시·도 가운데 가장 비율이 높았다.

또한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지역으로부터의 유입이 비교적 많은 지역은 아산, 서천, 태안으로 나타나 지역적 접근성이 농촌 이주의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인 것으로 조사됐다.

유 박사는 “지역적·유형별로 다양한 귀농·귀촌 특성을 보이는 등 귀농·귀촌 인구의 지속적인 증가가 예상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충남을 비롯한 대부분의 시·도 및 지자체에서는 지원책이 부족한 형편”이라며 “귀농·귀촌 인구에 대한 정확한 예상 분석과 관련 통계를 정비하고, 중앙정부가 추진 중인 귀농·귀촌 지원시책과 맞물려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