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들마다 재개발이나 용도변경 등의 이유로 갈 곳 잃은 나무들을 폐기처리하지 않고 재활용하려는 노력들이 ‘나무은행’ 사업으로 각광받기 시작했다.

중앙정부 차원의 정책이나 예산 뒷받침은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지만, 지자체마다 처한 상황과 수요에 따라 ‘나무은행’을 운영하고 있으며, 아직 시행하고 있는 곳보다 시행하지 않는 곳이 더 많다. 어느 지역에서는 ‘나무고아원’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도 하는 등 아직 명칭에 있어서도 뚜렷한 통일성이 없는 상태다.

꼭 나무은행 형식을 갖추지 않더라도 이식을 위한 투자비용 대비 효용가치가 더 크다고 판단하는 지자체들은 적극적으로 나무를 재활용해서 신규 설계에 반영하기도 한다.

이러한 움직임들은 우리에게 몇가지 중요한 점을 시사하고 있다.
지자체들이 갈 곳 잃은 나무를 더 이상 골칫거리로만 생각지 않고 생명체로 인식한다는 점, 저탄소 녹색성장 시대를 맞아 탄소흡수원으로서 나무의 가치를 인정하기 시작했다는 점, 그리고 일정 규격 이상의 성목을 수급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는 현실을 파악했다는 점 등은 긍정적인 부분으로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이번 조사에서 가장 모범적으로 사업을 추진해 온 전라남도의 경우에는 광역자치단체 차원에서 매뉴얼도 구축하면서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었다. 하지만, 상당수 자치단체에서는 예산확보나 인프라 구축의 어려움 탓에 쉽게 접근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쉬운 점은 우리나라 조경수 정책을 전담하고 있는 산림청에서는 현황 파악이나 정책 준비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해마다 식목철이 되면 새로 나무를 심는 데에만 관심을 가질 뿐, 개발로 인해 없어지는 나무들을 보존하려는 노력은 부족했었던 것은 아닌지 돌아볼 일이다.

이번 기회에 일선 지자체들은 나무은행 설립운영에 대한 타당성 검토가 이뤄져야 할 것이고, 산림청에서도 체계적인 운영을 뒷받침 할 수 있는 법제도 및 예산 지원을 할 수 있는 근거를 검토하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생명체를 소중히 여기고, 탄소흡수원으로서 나무의 가치를 존중하는 일은 누구보다도 우리가 나서서 해야 할 일이기 때문이다.

 

논설실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