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scape Times 지재호 기자] 우리나라 1인당 총 생태발자국은 1인당 3.590gha로 -3.43gha 생태적자를 보이고 있고 현재 소비수준을 감안해 자급자족할 경우 현재 보유한 생산토지의 6배 면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희진 국토연구원 국토환경·자원연구본부 연구원이 발표한 ‘시·도별 생태발자국 지수 산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17개 시·도의 생태발자국을 분석한 결과 생태발자국 지수가 높은 대도시일수록 생태적자의 규모가 큰 것으로 조사됐으며, 이는 높은 개발면적과 인구밀도를 가진 대도시일수록 생태적 생산토지 면적 대비 소비량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중 대전시가 1인 당 소비면적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부산시, 울산시, 서울시, 인천시 등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지난 2019년 기준으로 현재 소비 수준을 유지한 채 자급자족할 경우 필요한 토지 면적은 서울시는 924.3배, 부산시 145.4배, 대전시 111.1배에 이르고 있다.

반면 강원도의 경우 1.1배로 현재 소비 규모에 적정한 토지 규모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시·군의 생태발자국 변화는 도시화 수준 특성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생태발자국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녹지 면적 비율이 높고, 주거와 상업, 공업 면적 비율과 인구밀도가 낮은 특성을 가질수록 생태발자국 변화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생태발자국 유지 및 개선을 위해 녹지면적과 주거, 상업, 공업 면적 비율, 인구밀도를 관리할 수 있는 도시 차원의 제도적 적용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표희진 연구원은 제안했다.

표 연구원은 제도적 적용방안으로 시가화예정용지의 조정 필요지역 선정과 적정성 검토 방안을 제시했다.

향후 생태용량을 고려한 개발면적을 산정하는 데 기초자료로서 활용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다만 생태발자국과 생태적자는 인간소비 활동을 표현한 상대적인 값으로 절대적인 기준으로 활용하기 어려움에 따라 적정 기준치 설정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 수행이 뒤따라야 한다고 밝혔다.

만약 지역별 여건에 따라 생태발자국 기준이 마련된다면 지속 가능한 국토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한편 OECD는 지난 2008년 새로운 정책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다면 2030년에는 전 세계 온실가스가 2000년 대비 37% 증가하고, 2050년에는 평균온도가 1.7~2.4도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며 지속 가능한 환경과 생태를 위해 전 지구적인 공동 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한국조경신문]

 

2019년 기준 시·도별 생태적자와 필요 토지 면적

 

ⓒ국토연구원
ⓒ국토연구원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