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scape Times 지재호 기자] 우리나라 정부와 지자체의 폭염에 대응하는 종합대책이 중장기적으로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또한 기후위기에 대응한 폭염 대응 정책이 중장기적 대책과 연계해 수행될 수 있도록 폭염대책의 전반적인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종화 국토연구원 국토환경·자원연구본부 부연구위원이 작성한 ‘지자체 폭염대책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2년 여름, 전 세계를 강타한 때 이른 폭염으로 연일 피해가 발생하면서 기후변화 위기가 도래했음을 다시 한 번 인지시켰다며 폭염 관련 대책이 주로 단기적 피해 예방 및 대응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지역별 특성과 기후변화 추세 등을 고려한 중장기적 대책 수립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1990년부터 2021년까지 우리나라는 일최고기온과 폭염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추세로 2010년대에 평균 약 9.0일 증가했으며 폭염이 가장 오래 지속된 2018년의 폭염발생일수는 31일에 이른다.

지난 32년간 일최고기온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지난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 간 연속으로 39℃ 이상 최고기온을 기록했다.

 

연도별(1990~2021년) 폭염발생일 및 최고기온

 

1993년은 폭염과 열대야 발생일 모두 0일.      ⓒ국토연구원
1993년은 폭염과 열대야 발생일 모두 0일. ⓒ국토연구원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의 고탄소 시나리오 기반에서 우리나라 수도권 폭염일수는 현재 7.8일에서 세기말 최대 86.4일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더 빈번하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경상권의 폭염일수는 82.9일, 수도권과 충청권은 86.4일과 89.1일로 예측됐다.

제주도와 강원도를 제외한 거의 모든 지역에서 현재 대비 폭염일수가 +70.9~+80.4일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따라 겨울시즌은 이제 3개월 미만으로 짧아지고 여름은 약 6개월 간 지속돼 길고 무더워질 것으로 전망됐다.

문제는 33℃ 이상에서 최고기온이 1℃ 증가할 때마다 폭염발생일수 당 온열질환자 수가 약 1.5배 증가하고 최고기온 34~37℃ 구간에서는 평균 120명 이상의 온열질환자가 발생된다는 것이다.

폭염 발생에 따른 온열질환자 및 사망자는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상대습도가 높거나 일조시간이 긴 경우 온열질환자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표에 흡수된 열 방출과 냉방, 자동차 등에 따른 인공열이 확산되지 못하고 도시 내에 갇혀 교외지역에 비해 높은 기온이 유지되는 도시열섬현상으로 비도시지역과 달리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기온에서도 인명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때문에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의 피해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또한 현행 국가 폭염대책은 다부처 합동 대응을 통해 현안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공동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부처벼로 사업이 파편화돼 연계를 통한 시너지 효과 창출 및 장기적 관점의 폭염 대책 수립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여기에 지자체의 폭염대책은 건강 부문 관련 사업이 57.8%로 단기적 대책 중심인 것으로 조사됐으며 중장기 대책인 산림과 생태계부문은 11.1%, 적응/에너지 부문은 3.2%로 나타나 폭염 적응을 위한 중장기 대책에 대한 비중을 높여야 한다고 방향성을 제시했다.

박 연구위원은 기후변화에 적응하며 살아갈 수 있는 공간환경을 갖추기 위해 도시 전반의 기온을 저감할 수 있는 녹지축 조성, 담수시설 확보 등의 중장기 대책이 지속돼야 하고, 지역 내 녹지축 조성도 중요하지만 지역 간 녹지축이 연계될 수 있도록 국토 전반의 공간적 연결성을 고려할 것을 주문했다.

한편 연구보고서는 국토연구원 누리집에서 열람이 가능하다.

[한국조경신문]

 

시군 폭염발생일수(왼쪽)과 온열질환자 수 공간적 분포

ⓒ국토연구원
ⓒ국토연구원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