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형근 박사
온형근 박사

 

우는 것이 뻐꾸기인가, 푸른 것이 버들숲인가

보길도 부용동 원림의 시경을 고산 윤선도(1587~1671)의 「어부사시사」 40수에서 발견한다. 65세(1651년)에 창작되었음이 고산 윤선도의 연보에 기록되었다. 인생의 가장 원숙기에 접어든 54세(1640년)에 <금쇄동기>를 짓고 56세(1642년)에 「산중신곡」 18수를 창작하였으니 「어부사시사」는 <금쇄동기> 이후 11년이 지난 후이다. 중국은 병자호란 이후 순치제, 일본은 에도 막부 시대이다. 프랑스는 루이14세 시대이며 베르사유 궁원이 조성되었다. 인도는 샤 자한 재위 기간으로 타지마할이 건립된 시기이다. 당시 조선은 임진왜란 이후 광해군의 난정, 인조반정, 정묘호란, 병자호란으로 이어지는 격난의 시대였다. 효종이 즉위한 2년째 되던 해 가을에 「어부사시사」가 지어졌다.

 

우ᄂᆞᆫ 거시 벅구기가 프른 거시 버들 숩가

이어라 이어라

漁어村촌 두어 집이 ᄂᆡᆺ 속의 나락들락

至지匊국悤총 至지匊국悤총 於어思ᄉᆞ臥와

말가ᄒᆞᆫ 기픈 소희 온갇 고기 뛰노ᄂᆞ다.

<어부사시사, 「춘사 4」>

 

「춘사 4」에서는 새가 울고 숲이 푸른데, 안개는 신비롭게 들락날락하고 온갖 물고기가 생의(生意)로 펄럭이는 후련하게 살아 움직이는 시경(詩境)이 돋보인다. 특히 시경의 묘사를 율동을 갖추어 표현하였다.

초장에서 ‘우는 것이 뻐꾸기인가, 푸른 것이 버들숲인가’는 흥취를 주는 율동이면서 동시에 점진적 반전의 해학이다. ‘우는 것’과 ‘푸른 것’은 청각과 시각의 반전이다. 버들 숲이 있어서 뻐꾸기도 깃들어 사는 것이니 이것은 인과관계로 쌍을 이루는 관대우(串對偶)를 적용한 시경이다. 중장에서는 배에서 멀리 주위를 보니 이미 떠나온 육지의 모습은 안개 속에 쌓여 어촌의 두어 집이 ‘나락들락’한다는 것이다. 배가 흔들리기도 하고 안개가 짙기도 하며 방향이 바뀌기도 하는 입체적인 풍광을 표상한다. 종장에서 ‘깊은 소’를 강조한다. 이 깊은 소에 깃들어 사는 무한대의 생명력을 ‘온갖 고기 뛰논다’로 마무리한다. 어쩌면 바다에도 물고기가 유난히 더 깃드는 바다의 ‘풍수’가 있는 것이다. 경관의 율동미와 생명력을 간결하게 표현한 시경이다.

 

보길도 부용동 원림의 시경

윤선도는 격자봉 아래 낙서재에 머물면서 대규모 원림의 기본계획을 구상한다. 기본구상은 자연환경을 연꽃의 형상화로 삼아 부용동이라는 개념으로 접근하였다. 이후 몇 차례 입출도를 거듭하면서 압도될 만큼 웅장한 원림을 조영하였다. 다음과 같은 시경은 부용동 원림의 사용 설명서이자 향유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봉래로 착각하고 들어와 홀로 진경 찾으니 / 蓬萊誤入獨尋眞

물물이 맑고 기이하며 하나하나 신비로워 / 物物淸奇箇箇神

가파른 절벽은 천고의 뜻을 말없이 간직하고 / 峭壁默存千古意

아늑한 수풀은 사시의 봄빛을 한가히 띠었어라 / 穹林閑帶四時春

어찌 알랴 오늘 산중의 이 나그네가 / 那知今日巖中客

뒷날 그림의 소재가 되지 않을 줄을 / 不是他時畫裏人

진세의 재잘거림이야 말할 것이 있으랴만 / 塵世啾喧何足道

돌아갈 생각하니 신선들 책할까 두렵도다 / 思歸却怕列仙嗔

<「황원잡영(黃原雜詠)」 2수, 고산유고>

 

「황원잡영」 3수 중 제2수이다. 제1수에서 “십 리의 봉호는 하늘이 내리신 영토이니/ 비로소 내 길이 완전히 막히지 않은 줄 알겠네.”라고 보길도의 부용동을 삼신산의 하나인 봉래에 빗대어 ‘봉호’라고 부른다. 부용동 원림을 하늘이 내리신 은혜라 여기면서 지극히 흡족하는 심미의식을 엿볼 수 있다. 이어서 제2수에서는 가파른 절벽과 아득한 수풀인 초벽궁림(嶕壁穹林)이 펼쳐진다. 그곳에 머물던 내가 뒷날의 그림 소재가 되겠다는 한국정원문화의 원림 향유 방법이 제시한다. 제3수에서는 “돌웅덩이 술통에 옛 뜻이 머물렀고/ 석실에 그윽한 정이 흡족하네.”며 동천석실의 구체적 장소성을 지닌 시경을 그윽한 공간의 분위기로 에둘러 말한다.

이처럼 고산은 시경으로 부용동 원림 공간의 개별성을 적확하게 그려내거나 전체 원림을 구조적 시스템으로 파악하였다. 영덕에 유배되었을 때 시를 나눈 송파 이해창(1599~1655)에게 보낸 시를 보면 해남 금쇄동 원림과 보길도 부용동 원림에서 만나 웃으면서 한 잔 술에 달을 마주하고 회포를 이야기하자는 시경을 이렇게 읊는다.

 

(...)

낙서재 밖에는 비단처럼 펼쳐진 꽃이요 / 樂書齋外花如錦

휘수정 가에는 띠처럼 휘감은 물이로세 / 揮手亭邊水拖紳

날개 짧으니 그대를 어떻게 데리고 오랴 / 翅短何由持子至

한 잔 술에 부질없이 보름달을 대할 뿐 / 一杯空對月華新

 

행장을 그윽이 옛사람에게 부쳤나니 / 行藏竊附古之人

귀신처럼 씹는다 해도 무슨 상관이랴 / 咀嚼那關有鬼神

봉래 바다는 하늘과 함께 푸른 동천을 열고 / 蓬海與天開碧洞

구름 속에 솟은 산은 나를 위해 붉은 먼지를 막네 / 雲山爲我隔紅塵

(...)

<「차운기정송파거사」, 고산유고, 한국고전종합DB>

 

김윤겸, '영남기행첩', '극락암'(왼쪽) / 김하종, '해산도첩', '해금강'-고산이 이끌린 산과 바다의 정서-
김윤겸, '영남기행첩', '극락암'(왼쪽) / 김하종, '해산도첩', '해금강'-고산이 이끌린 산과 바다의 정서-

 

 

이 시는 고산이 이끌린 산과 바다의 정서가 잘 그려져 있다. 낙서재는 부용동 원림의 허름한 서재이고 휘수정은 금쇄동에 있는 자그마한 정자라고 소개하면서 회포를 풀자고 답시를 보낸다. 「어부사시사」를 창작한 65세(1651, 효종2년)에 쓴 시경이다. 낙서재에서 내려다보면 비단같이 두른 꽃(花如錦)이며 휘수정 곁으로 휘감은 물(水拖紳)이 펄쳐진다. 편지 말미에 지금 부용동에는 동백이 활짝 피었다고 하였다. 봉래의 바다와 구름에 묻힌 산은 동천석실을 만나게 한다. 세상살이의 고된 먼지를 구름 속에 솟은 산이 막아준다며 부용동 원림의 시경을 펼친다.

 

송간세로를 통하여 오르는 동천석실(洞天石室)의 시경

일어나면 경옥주(瓊玉酒) 한 잔 드시고 세수하고 의관 정제한 다음 단정히 앉아 자제들의 강학을 살폈다. 아침식사 뒤에는 채비를 갖춰 직접 고안한 수레로 세연정으로 나선다. 무민당을 거점 공간 삼아 ‘일일래’하고 ‘일왕복’하는 루틴의 ‘리추얼라이프’를 실천한다. 성과 경을 다해 ‘주의 깊은 알아차림’으로 임천한흥에 든다. 더러 달 뜨고 늦은 귀가에는 송간세로를 지나 동천석실로 흥취를 이어나간다.

공은 일찍이 섬 속의 모든 경치를 평하기를, 석실을 신선(神仙)에 비교한다면 그중에 제일이 되고, 세연정은 번화하면서도 청정한 낭묘(廊廟)를 겸비한 기구이며, 곡수는 정결하여 스스로를 지키는 자라고 하였다.

<윤위, 「보길도지」, 尹柱玹 朴浩培 共譯>

고산의 5대 손인 윤위(1725~1756)가 24세 때 보길도를 답사하고 쓴 기행문인 「보길도지」에서 부용동 원림에서 가장 높이 치는 공간을 동천석실이라 하였다. 고산이 이미 동천석실은 신선에 비교할 정도의 으뜸되는 공간이고 세연정은 재상의 그릇을 담고, 곡수당은 자기 자신을 지킬 수 있는 공간이라 품평한 것이다.

 

동천석실洞天石室 / 온형근

달이 휘영청 소나무숲 좁은 길을 지나 천천히

두루 노닐며 산새 잠든 길을 부스럭

달그림자 흔들릴 때마다 속 깊은 탄식 메아리쳐

뜨거워진 심장 식지 않을 만큼 언덕을 오른다.

 

가끔 환해진 오솔길의 준수한 황토 바닥

이끼 깊은 눈동자처럼 고혹적인 바위

오늘 밤은 갈 곳을 던져 동천으로 기울고

아득한 옛적에 놓인 희황교羲皇橋 넘나들며

티없이 맑은 돌우물의 찻물을 길어 밤새도록

 

차바위 정좌한 찻물에 낙서재樂書齋일렁인다.

 

달 뜨고 가을밤 깊을 때 동천석실을 오른다. 새소리조차 들리지 않고 달그림자만 속 깊은 탄식처럼 출렁인다. 동요되지 않게끔 천천히 느리게 오른다. 가끔 이끼 짙은 바위에 눈이 마주친다. 신선의 세계에 이르러 저 멀리 필부의 삶을 관조한다. 「어부사시사」 ‘추사10’에 솔숲 사이의 동천석실에 가서 새벽달을 보자며 금방 지날 만추의 계절을 재촉하는 시경이 나온다. 만산에 낙엽이 가득하여 길을 어찌 찾겠냐는 엄살을 부리면서 따라오는 흰 구름에 힘입어 몸까지 가벼워지는 순간을 경험한다.

[한국조경신문]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