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 만에 연결된 창경궁-종묘 구간  ⓒ서울시
90년 만에 연결된 창경궁-종묘 구간 녹지축, 사진 왼쪽이 창경궁이며 맞은 편이 종묘이다   ⓒ서울시

 

[Landscape Times 지재호 기자] 서울시가 일제 강점기 때 일본에 의해 단절된 창경궁과 종묘를 90년 만에 다시 연결했다고 20일(수) 밝혔다.

창경궁과 종묘를 단절시켰던 율곡로를 지하화하고 그 위에 축구장보다 넓은 녹지 약 8000㎡를 만들어 끊어졌던 녹지축을 이었다.

일제가 없애버린 창경궁과 종묘 사이 503m 길이의 궁궐담장과 북신문도 최대한 원형 그대로 복원했다.

궁궐담장의 경우 공사 중 발굴된 옛 종묘 담장의 석재와 기초석을 30% 이상 재사용됐다.

이번 역사복원은 과거 동궐(창덕궁‧창경궁)과 유기적으로 연결돼 있었지만 일제의 율곡로 개설로 섬처럼 분리돼버린 종묘를 선조들이 계획하고 건설했던 공간으로 되돌려 조선의 궁궐과 국가상징물의 역사적‧전통적 가치를 회복했다는 데 가장 큰 의미가 있다.

종묘와 동궐(창덕궁·창경궁)은 담장 하나를 사이에 두고 숲으로 이어져 있었지만, 조선총독부가 광화문 앞에서 창덕궁 돈화문을 지나 조선총독부의원(서울대학교병원의 전신인 대한의원) 앞을 통과하는 도로를 만들며 창경궁과 종묘를 갈라놓고 구름다리를 놓았다.

일제는 풍수지리상 북한산의 주맥이 창경궁에서 종묘로 흐르게 돼 있는 것을 도로의 신설과 확장이라는 미명 아래 끊어버렸다.

주산(主山)은 창덕궁과 종묘 사이의 동산으로, 두 지역을 힘 있게 이어주고 있었음을 ‘조선왕조실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궁궐담장과 함께 사라진 북신문도 복원됐다. 서울시는 종묘의궤(1706~1741), 승정원일기 등 문헌을 통해 규모와 형태가 가장 유사한 창경궁의 동문(東門)인 월근문(月覲門)을 참고해 복원했다.

궁궐담장 주변으로는 약 8000㎡ 규모의 전통 숲이 조성됐다. 창경궁과 종묘 수림에 분포된 참나무류와 소나무, 귀룽나무, 국수나무, 진달래 등 우리나라 고유 수종으로 교목 760주와 관목, 화초를 심어 자연스러운 다층구조의 숲을 완성했다.

출입에 있어 당분간 궁궐담장길에서 종묘와 창경궁으로 출입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시는 창경궁과 종묘 사이를 자유롭게 오갈 수 있도록 현재 문화재청과 협의 중으로, 함양문을 통해 창덕궁과 창경궁을 통행하는 것처럼 진출입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창경궁은 자유관람이지만 종묘는 예약을 통한 시간제 관람으로 운영되고 있어 통합 관람체계로 재편이 필요한 상황이다.

여기에 궁궐담장길에 매표소를 설치‧운영하기 위한 인력과 보안설비 등도 갖춰진 후에 개통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조경신문]

 

복원된 담장과 기초석   ⓒ서울시
복원된 담장과 기초석 ⓒ서울시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