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scape Times 지재호 기자] 코로나19를 계기로 주거지 인근의 그린인프라 이용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공간계획적으로 그린인프라의 접근성과 이용밀도, 연결성을 개선하거나 확충하는 접근법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국토연구원이 발행한 ‘뉴노멀시대의 도시 그린인프라 계획모형 제안’ 연구논문(윤은주 부연구위원·박종순 그린인프라연구센터장·이치주 부연구위원·홍나은 연구원)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이동거리 축소에 따라 거주지 인근 그린인프라에서 휴식·휴양을 취하는 수요, 보행·자전거 등 비대면 이동수단을 선호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그린인프라로 비대면 이동환경을 개선하려는 수요와 깨끗해진 공기, 물을 체감하면서 그린인프라를 통해 장기적으로 쾌적한 도시환경을 조성하려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때문에 녹지와 농경지, 토양 등 자연적·반자연적 요소를 폭넓게 포함하고 사람과 야생동식물에게 다양한 서비스 제공, 상호 연계된 네트워크로서 계획 및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접근성에 있어서 일부 도시지역은 그린인프라 서비스의 사각지대이며 코로나19를 계기로 환경적 불평등, 환경정의 문제로 심화돼 ‘그린인프라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도시의 선형(線形) 그린인프라 간 연결성이 낮아 보행 및 자전거 이용환경이 열악해 ‘그린인프라의 연결성’의 개선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여기에 ‘공원녹지 기본계획’, ‘도시숲 기본계획’ 등 기존 그린인프라 계획체계에서는 그린인프라의 양적 확보 기준과 거시적인 방향성이 제시돼 있는 반면 공간계획적 접근법에 대한 구체성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도시 그린인프라 계획에 ‘접근성 개선’, ‘연결성 개선’, ‘문제지역 우선 공급’을 반영하기 위해 계획과정을 정형화하고 단계별 방법론을 내재화한 계획모형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실제 계획체계에서 계획모형이 작동되기 위해서는 단기적으로 ‘공원녹지 기본계획 수립지침’에 관련 사항을 반영하고, 장기적으로는 인벤토리 및 공간의사결정지원시스템 구축과 「(가칭)그린인프라 기본법」 등 상위법 도입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한국조경신문]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