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성남 탄천에 공공정원이 1만2000㎡규모로 조성되면서 시민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으며 연일 미디어로부터 주목을 받았다.

그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은 가운데 장마가 시작됐고, 범람을 우려했던 탄천이 여지없이 물에 잠기면서 공공정원의 화사했던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처참한 광경을 보였다.

성남시가 잠재적 이용도가 높은 탄천을 코로나19로 지친 시민들에게 제공하겠다는 목적으로 조성했지만 많은 전문가들은 범람이라는 위험요소를 떨쳐내지 못했었다.

경기도 특별조정교부금 10억 원이 투입돼 조성됐지만 이번 범람으로 곳곳이 물에 잠기고, 어떤 공간은 진흙만 남긴 채 송두리째 정원 공간이 사라진 곳도 보였다.

이에 성남환경운동연합은 지난 4일 보도자료를 내면서 정원과 공원 등으로 인위적으로 조성해 과도한 시설을 설치하고, 불투수 면적을 늘리는 것은 기후 위기로 잦아진 홍수 대응에 역행할 뿐만 아니라 사후관리에 막대한 비용을 초래하는 만큼 관리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국에 지방정원이 추진되고 있는 곳은 41곳에 이른다. 이들의 기본적인 목적은 추후 국가정원이라는 원대한 꿈을 가지고 추진되고 있다는 다실은 이미 알려진 사안이다.

하지만 하천에 지방정원을 조성함에 있어 중요한 것은 국민 안전에 있다는 사실이다. 과거 통과 의례처럼 범람으로 인한 수재민 발생은 자연 재해라는 명분으로 감춰진 인재라는 사실이다.

하천은 언제든 예측할 수 없는 기후변화로 잠길 수 있다는 가정 하에 대비가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다. 만약 지방정원으로 추진한다면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은 당연한 수순이 돼야 한다.

국민의 세금으로 조성되는 곳인 만큼 국민 안전은 기본적으로 담보돼야 할 뿐만 아니라 정원이 훼손되지 않게 관리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충분히 기상 이변으로 인한 대응책을 준비했음에도 사태를 막지 못했다”라는 식의 변명을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은 가족 외에 없다는 사실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환경운동연합이 모래톱과 습지 등의 수변공간에 수변생태벨트를 조성하는 등 지속가능한 탄천의 관리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주장은 충분히 공감할 수 있는 대목이다.

보기에만 좋은 포장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땅이 가지고 있는, 주변 환경의 컨디션을 관리할 것인지, 아니면 보강할 것인지 부터 논의하고 진행하는 게 순서이다.

분명 정원이 주는 즐거움은 사람에게 편안함과 감성을 깨워 힐링을 통한 행복감을 전해주는 역할을 한다.

지자체가 시민들을 위한 공간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뜻에는 박수를 보낸다. 그러나 욕심보다는 먼저 준비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간과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이 크다.

[한국조경신문]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