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강석과 콘크리트 구조물로 되어 있어 시민들로부터 소외받았던 미관광장이 숲과 물 그리고 빛이 어우러지는 생태숲으로 다시 태어났다.

▲ 화강석과 콘크리트 구조물로 되어 있어 시민들로부터 소외받았던 미관광장이 숲과 물 그리고 빛이 어우러지는 생태숲으로 다시 태어났다.

▲ 화강석과 콘크리트 구조물로 되어 있어 시민들로부터 소외받았던 미관광장이 숲과 물 그리고 빛이 어우러지는 생태숲으로 다시 태어났다. 광주를 상징하는 무등산 입석대를 형상화한 벽천폭포를 조성했다.

▲ 화강석과 콘크리트 구조물로 되어 있어 시민들로부터 소외받았던 미관광장이 숲과 물 그리고 빛이 어우러지는 생태숲으로 다시 태어났다. 광주를 상징하는 무등산 입석대를 형상화한 벽천폭포를 조성했다.

▲ 화강석과 콘크리트 구조물로 되어 있어 시민들로부터 소외받았던 미관광장이 숲과 물 그리고 빛이 어우러지는 생태숲으로 다시 태어났다. 광주를 상징하는 무등산 입석대를 형상화한 벽천폭포가 미관광장 생태숲에 명물이 되었다.

▲ 화강석과 콘크리트 구조물로 되어 있어 시민들로부터 소외받았던 미관광장이 숲과 물 그리고 빛이 어우러지는 생태숲으로 다시 태어났다. 광주를 상징하는 무등산 입석대를 형상화한 벽천폭포앞에 징검다리가 놓여있다.

▲ 화강석과 콘크리트 구조물로 되어 있어 시민들로부터 소외받았던 미관광장이 숲과 물 그리고 빛이 어우러지는 생태숲으로 다시 태어났다. 광주를 상징하는 무등산 입석대를 형상화한 벽천폭포에서 떨어진 물은 420m 계류를 따라 흐른다.

▲ 화강석과 콘크리트 구조물로 되어 있어 시민들로부터 소외받았던 미관광장이 숲과 물 그리고 빛이 어우러지는 생태숲으로 다시 태어났다. 배롱나무 꽃이 활짝피어 있다.

▲ 화강석과 콘크리트 구조물로 되어 있어 시민들로부터 소외받았던 미관광장이 숲과 물 그리고 빛이 어우러지는 생태숲으로 다시 태어났다. 배롱나무 꽃이 활짝피어 있다.

▲ 화강석과 콘크리트 구조물로 되어 있어 시민들로부터 소외받았던 미관광장이 숲과 물 그리고 빛이 어우러지는 생태숲으로 다시 태어났다. 미관광장 생태숲을 흐르는 물은 주변에 있는 현대해상화재보험 건물내 지하수를 무상으로 사용하고 있다.

▲ 화강석과 콘크리트 구조물로 되어 있어 시민들로부터 소외받았던 미관광장이 숲과 물 그리고 빛이 어우러지는 생태숲으로 다시 태어났다. 미관광장 생태숲을 흐르는 계류지 곳곳에 작은 분수가 설치되어 있다.

▲ 화강석과 콘크리트 구조물로 되어 있어 시민들로부터 소외받았던 미관광장이 숲과 물 그리고 빛이 어우러지는 생태숲으로 다시 태어났다. 광장 남쪽에 위치한 입석대 벽천폭포에서 시작한 물은 420m계류를 따라 북쪽 끝으로 흐른다..

▲ 화강석과 콘크리트 구조물로 되어 있어 시민들로부터 소외받았던 미관광장이 숲과 물 그리고 빛이 어우러지는 생태숲으로 다시 태어났다. 지하주차장 입구를 유리벽천으로 조성했다.

▲ 화강석과 콘크리트 구조물로 되어 있어 시민들로부터 소외받았던 미관광장이 숲과 물 그리고 빛이 어우러지는 생태숲으로 다시 태어났다. 지하주차장 입구를 유리벽천으로 조성했다.

▲ 화강석과 콘크리트 구조물로 되어 있어 시민들로부터 소외받았던 미관광장이 숲과 물 그리고 빛이 어우러지는 생태숲으로 다시 태어났다. 70여년 된 R90 짜리 팽나무.

▲ 화강석과 콘크리트 구조물로 되어 있어 시민들로부터 소외받았던 미관광장이 숲과 물 그리고 빛이 어우러지는 생태숲으로 다시 태어났다. 산책로 곳곳에 벤치를 설치했다.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