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scape Times 지재호 기자] 국립산림과학원은 지난 7년간(2015∼2021)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주요 산림 수종 16종의 재적표(Tree volume table)를 개발했다고 3일(목) 밝혔다.

기존에 사용된 수종별 재적표는 소나무, 낙엽송 등 14개 수종으로 1960년대에 개발돼 사용됐으나, 우리나라 산림이 성숙해지고 울창해짐에 따라 과거의 재적표로 현재의 나무 부피를 계산하는데 차이가 있었다.

이에 국립산림과학원은 전국 2만여 본 이상의 나무를 대상으로 키와 굵기를 조사했으며, 졸참나무와 대나무를 추가해 총 16종의 재적표를 개발했다.

새롭게 개발된 재적표를 적용해 우리나라 산림의 분포면적 기준 상위 9개 주요 산림 수종의 임목축적을 재계산한 결과, 기존 4억9200만㎥에서 5억1600만㎥로 2300만㎥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나무 30년생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20만ha의 산림면적이 증가했으며 이는 여의도 290ha 면적의 690배에 이른다.

또한 이번에 국내 최초로 개발·제시된 대나무 재적표와 더불어 신규재적표를 활용해 전국 산림의 탄소저장량 산정에 적용한다면, 국가 온실가스감축 목표 정책에 한층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국립산림과학원은 기대하고 있다.

강진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ICT연구센터 연구관은 “새롭게 개발된 재적표의 활용으로 목재를 거래할 때 과거보다 더욱 정밀하게 양을 계산할 수 있게 됐다”라며 “향후 정밀임업을 위해 라이다 등 첨단 ICT 장비를 활용한 정교한 데이터 수집과 과학적 접근을 위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한편, 재적표는 우리나라 숲의 임목자원량을 평가하는 경영표이자 산림사업의 기본척도이며, 숲이 흡수·저장하는 탄소량(Carbon stocks)을 계산할 때 반드시 필요한 수치 데이터이다.

[한국조경신문]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