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정맥 산림청
낙동정맥 ⓒ산림청

[Landscape Times 이수정 기자] 산림청이 지난해 강원도 태백시 소재의 매봉산에서 경북 영천 운주산, 부산광역시 엄광산, 몰운대로 이어지는 낙동정맥 418.9km에 대한 실태조사를 완료한 결과 멸종위기종 희귀생물이 다량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한, 낙동정맥 전역의 시원한 공기가 도시로 유입돼 대기를 냉각시켜 폭염과 열대야 현상이 완화됐다.

‘정맥’이란 백두대간에서 분기된 주요 산줄기로서, 정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2009년부터 남한지역 9개 정맥(한북정맥, 낙동정맥, 한남금북정맥, 한남정맥, 금북정맥, 금남호남정맥, 금남정맥, 호남정맥, 낙남정맥)에 대해 6개 권역으로 나누어 6년마다 실태조사를 추진, 2020년 11월 백두대간법 개정을 통해 정맥의 정의 및 경로를 마련했다.

지난해 3차기 실태조사 첫해로 낙동정맥 조사는 부산대, 경북대 등이 참여한 한국환경생태학회가 진행했다.

낙동정맥 조사결과 식물상은 총 112과 429속 883분류군이 출현했고, 희귀식물은 정선황기, 애기송이풀, 가는잎개별꽃 등 31분류군이 나타났다.

동물상은 포유류 15종, 조류 65종, 양서·파충류 16종, 나비류 85종 등이 출현했다.

낙동정맥에 출현한 멸종위기종 애기송이풀 산림청
낙동정맥에 출현한 멸종위기종 '애기송이풀' ⓒ산림청

이번 실태조사에서는 가상가치평가법(CVM;Contingent Valuation Method)을 이용해 낙동정맥의 가치를 추정한 결과, 2400억 원으로 지난 2차기에 비해 200억 원 정도 증가했다. 이는 낙동정맥으로부터 국민들이 체감하는 산림 혜택이 증가하고 인지도가 향상됐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정맥의 보전 필요성과 가치가 입증된 것이다.

아울러, 낙동정맥 전역의 찬 공기 흐름과 찬 공기층 높이를 분석한 결과 봉화, 삼척, 청도에서 찬 공기 생성 및 유동이 가장 원활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낙동정맥 인근 총 21개 시·군·구가 찬 공기로 인한 대기 순환 및 온도조절의 혜택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9개 정맥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정맥의 보전 가치를 제시하고, 국민의 공감대를 형성해 효율적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등 정맥의 보전·관리에 대한 기틀 마련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송준호 산림생태복원과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정맥 보호의 필요성과 가치가 입증됐다”며, “우리 국토 전반에 걸쳐 분기돼 있는 정맥이 잘 보존될 수 있도록 관련 정책 및 사업 발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조경신문]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