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scape Times 이수정 기자] 코로나19, 기후위기로 식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가운데 반려식물과 건강관리 기능 식물에 대한 인식 통계가 나왔다.

평범한 식물도 애착을 갖고 교감하면 ‘반려식물’로 인식됐다.

농촌진흥청(이하 농진청)이 ‘반려식물’과 ‘건강관리식물(헬스케어식물)’의 명확한 개념 정립을 위해 소비자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최근 반려식물과 헬스케어식물이란 용어가 자주 등장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개념은 아직 뚜렷하지 않다.

이에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농림기반 스마트 헬스케어(건강관리) 개발 및 확산’ 연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자 농진청 농산업경영과와 함께 농식품 소비자패널 726명을 대상으로 10월 8일부터 13일까지 인식 조사를 진행했다.

소비자의 코로나19 전후 반려식물 관심 변화
 코로나19 전후 반려식물 관심 변화

반려식물에 대한 조사 결과, 응답자의 41.7%는 반려식물이라는 용어를 들어봤으며 의미를 알고 있다고 답했고, 40.6%는 용어는 들어봤지만 의미를 정확히 모른다고 답했다.

반려식물의 개념으로는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실내에서 관상용(36.4%)이나 공기 정화(24.9%)를 위해 기르는 식물이 반려식물로 적절하다고 답했고, 열매 수확을 위한 작물이나 꽃이 피는 절화류와는 다른 개념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식물과 반려식물을 구분하는 기준으로는 43.1%는 애착 형성 여부, 25.3%는 사람과의 교감 여부, 11.8%는 관리 빈도 등을 들었다.

코로나19 이후 반려식물에 관심이 늘었다는 답은 51.1%였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46.3%)보다 20~30대(61.1%)가 코로나19 이전보다 반려식물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고 답했다.

반려식물에 해당하는 식물
실내식물과 반려식물의 차이
반려식물에 해당하는 식물
반려식물에 해당하는 식물

헬스케어식물에 대해서는 용어와 의미를 알고 있다고 답한 소비자가 전체의 6.7%에 불과했다. 49.7%는 헬스케어식물이라는 용어는 들어 봤지만, 의미는 정확히 모른다고 답했고, 43.5%는 용어도 들어보지 못했으며 의미 또한 잘 모른다고 답했다.

어떤 식물이 헬스케어식물의 대상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5점 만점 중 환경정화식물이 4.36점으로 가장 높았고, 여가활동용 식물(3.90점), 아름다운 식물(3.64점)이 뒤를 이었다.

헬스케어식물의 기능으로는 심리적 안정(4.19점), 신체적 건강(4.10점), 공간의 분위기 전환(4.08점)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소비자 조사를 통해 반려식물은 기르면서 느끼는 행복감을 통해 심리적 건강 유지와 증진에 도움이 되는 식물로, 헬스케어식물은 기르면서 느끼는 실내 공기정화 등 환경변화를 통해 신체적․심리적 건강 유지와 증진에 도움이 되는 식물로 인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농진청은 소비자가 공감할 수 있는 개념을 설정하는 한편, 소비자 인식을 고려해 관련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김광진 농진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김광진 과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실내식물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며, “국민 삶의 질 향상과 건강 증진을 위해 반려식물과 헬스케어식물 활용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조사를 담당한 우수곤 농진청 농산업경영과 과장은 “앞으로도 반려식물 등에 관한 소비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도시농업 연구 개발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조경신문]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