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상 녹화 지피식물 ⓒ농촌진흥청
옥상 녹화 지피식물 ⓒ농촌진흥청

[Landscape Times 승동엽 기자] 지피식물(groundcover plants)은 토양을 덮어 바람이나 물로 인한 피해를 막아주는 키 50cm 이하의 식물로, 자라면서 나무 아래나 경사면, 건물 옥상 등을 푸르게 가꾸는 역할을 한다. 그렇다면 지피식물의 탄소 흡수량은 얼마나 될까?

통상적으로 나무 1그루는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크기에 따라 약 5.9kg~14.1kg 정도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지피식물은 초지를 통틀어 탄소 저장량을 추정하고 있어 식물별 탄소 흡수량 정보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생활 속 탄소저감 방안의 하나로 주요 지피식물 30종을 대상으로 식물별 연간 탄소 흡수량을 계산해 발표했다.

계산 결과, 1㎡당 연간 탄소 흡수량이 3.0kg~3.5kg으로 비교적 높은 지피식물은 박하, 구절초, 노랑꽃창포, 붓꽃 등 11종으로 나타났다.

이들 식물로 약 200㎡ 정도의 옥상정원을 가꾼다면, 1곳당 연간 600kg의 탄소를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탄소 흡수량이 2.0kg~2.5kg으로 중간인 식물은 두메부추와 비비추, 호스타 등이었다. 톱풀과 범부채, 꽃댕강나무, 제라늄 등은 1㎡당 연간 탄소 흡수량이 1.0kg~1.5kg에 머물러 대상 식물 가운데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탄소중립 연한(비용을 탄소량으로 환산) 옥상녹화시스템 설치 및 유지 관리 등의 지출 비용이 에너지 절감 등의 비용 절감으로 전환되는 시점
탄소중립 연한(비용을 탄소량으로 환산): 옥상녹화시스템 설치 및 유지 관리 등의 지출 비용이 에너지 절감 등의 비용 절감으로 전환되는 시점 ⓒ농촌진흥청

이번 연구에서는 건물 옥상이나 벽면에 토양을 넣고 식물을 심을 때 발생하는 비용과 이후 식물에 의한 건물 냉난방 절감 비용 효과도 탄소량으로 환산했다.

또한 실제로 지피식물이 언제부터 탄소 흡수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 계산했다.

분석 결과 옥상 녹화 시스템 재료의 탄소 배출은 1㎡당 연간 25.2kg이었고 물 관리 등에 의한 탄소 배출은 0.33kg이었다.

옥상 녹화 식물인 세덤류, 사초류 등이 1㎡당 연간 3.7kWh의 건물 에너지를 절감하고 1.8kg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고 하면, 5.8~6.4년 뒤부터는 식물이 탄소 배출원에서 흡수원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탄소 흡수량은 토양과 수분 관리에도 영향을 받았다.

도심지 화단에 많이 심는 붓꽃류는 일반 토양보다 물 빠짐이 좋은 토양에서 탄소 흡수량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구절초 등 10종은 불량한 토양 환경에서 연간 탄소 흡수량이 50% 이하로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김광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장은 “생활 주변 녹지율을 높이고 경관 향상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지피식물을 발굴하고 있다”며, “식물의 기능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함으로써 원예식물의 새로운 가치를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오충현 동국대 교수는 “도시 내 지가 상승 등으로 녹지 확보가 어려운 가운데 높낮이가 다른 나무와 초화류를 여러 층으로 조성해 입체적으로 가꾸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그런 면에서 보면 탄소 흡수원으로서 지피식물의 활용성이 앞으로도 매우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한국조경신문]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