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scape Times 승동엽 기자] 지난 2010년 전국 최초로 시흥시 옥구공원에서 열린 경기정원문화박람회가 내년이면 10회를 맞이한 가운데 정원박람회의 향후 극복 과제를 담은 보고서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경기정원문화박람회 발전방안 연구’를 발간해 향후 경기정원문화박람회의 발전방안을 구상하고 정원 정책과 비전을 논하며, 10대 전략을 제시했다.

경기정원문화박람회는 우리나라 국내외 정원박람회의 초석이 되었고, 이후 경기도를 넘어 정원박람회가 전국으로 확산되는데 큰 기여를 했다. 하지만 대표 이미지 부재, 새로움과 차별화 문제, 지속가능한 관리 등 여러 방면에서 문제점들이 지적돼 왔다.

보고서는 이 같은 과제들에 대한 해법으로 경기정원문화박람회의 10대 전략을 통해 경기정원학교 조성, 경기정원보관원 설립, 대표 이미지 설정, 주제 부각, 경기정원지원센터 설립, 공공과 정원작가그룹 간 원활한 계약, 보호지역 주변에 마을정원 조성, 보호지역 주변에 야생정원 조성, 경기도 정원가도 조성, 경기도 전원도시 지정 등을 꼽았다.

특히, 연구원은 박람회 전시행사가 종료되고 남은 작품들을 어느 한 곳에 모아 하나의 주제로 만드는, 이를테면 보관 정원을 설립해 박람회가 쓰레기 발생지가 아닌 순환하고 재사용하는 개념으로 가야 올바른 방향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정원문화 및 정원산업 활성화의 지속성을 위해서 대표 이미지 설정과 함께 주제를 부각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주제가 약하면 관람객들의 재방문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작가의 작품을 하나의 주제로 설정하든지, 다른 방식으로 하든지 참여하는 작가들과 소통을 통해 공감대를 형성해 나아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올해 6월부터 시행된 「도시숲 등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산림청은 조직개편을 통해 정원산업을 지원하고 있지만, 경기도는 오히려 경기녹지재단을 경기도농수산진흥원으로 변경해 녹지기능을 약화시켰다고 말했다.

이를 위한 개선책으로는 정원지원센터 기능을 겸한 경기도시숲지원센터를 설립해 지속가능한 녹색 정책을 구현해 나아가야 한다고 피력했다.

이 밖에 박람회를 15회까지 경기도가 주도적으로 하되, 이후에는 시군이 주도해 각 시군이 대표 이미지를 설정하는 것이 박람회 활성화의 성공 요소라고 지적하며, 10년 이내에 3개 도시를 경기도형 전원도시로 지정할 것을 제안했다.

[한국조경신문]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