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scape Times 이수정 기자]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역사를 고스란히 담은 근대문화유산인 인천 부평캠프마켓 ‘조병창 병원’ 건물이 토양오염 문제로 철거로 의견이 모아지면서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역사 지우기라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부평캠프마켓은 중일전쟁 당시인 1939년 일본육군의 무기공장인 조병창으로 사용됐던 곳이다. 많은 학생과 청년들이 인천 부근에서 인천육군조병창 건설에 징용됐고 값싼 노동력으로 탄약, 총검 등 군수물량 공급에 강제 동원됐다. 광복 이후에는 주한미군이 주둔해 군수기지로 사용, 80여 년 간 일반인의 출입이 금지된 곳으로 일제 잔재 현장이자 분단의 아픔을 고스란히 간직한 공간이다.

2002년 미군부대 기지 이전에 따라 캠프마켓 반환계획 수립을 거쳐 2019년 정식 반환, 지난해 시민의 품으로 돌아왔다.

인천시는 애초 캠프마켓 내 B구역에 있는 조병창 병원에 대해 존치 입장이었지만 지난 6월 17일 시민참여위원, 국방부, 한국환경공단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캠프마켓 시민참여위원회에서 철거 결정으로 기울었다.

이에 문화재청에서는 근대건축물인 조병창 병원 철거에 대해 이의를 제기, 국방부에 재검토를 요청한 상태다.

시 관계자는 “국방부에서 건물을 존치한 상태에서 토양오염 정화가 어렵다고 판단해 철거로 의견이 모아졌다. 건물도 노후되고 토양오염정화 기간이 장기화될 수 있다고 논의돼 철거로 결정된 것이다”며 “향후 국방부나 문화재청 통해 재논의 가능성이 열리지 않겠나”고 말했다.

조병창병원 건물 철거를 두고 시민사회에서는 “문화유산 파괴”라며 반대 여론이 거세다 .  

지심도 내 일제 군사시설을 밝혀낸 강제윤 (사)섬연구소 소장은 sns를 통해 “한국 정부는 군함도의 강제 징용 역사를 밝히기 위해 치열한 외교전을 펼치고 있다. 그런데 정작 국내에 남아 있는 강제징용의 증거들, 일제 침략의 증거들에는 무관심하다. 지금도 일제의 군수공장이었던 인천의 부평 조병창 건물들이 철거되고 있지만 정부는 수수방관하고 있다”며 “군함도만 군함도가 아니다. 부평조병창도 군함도고 지심도 또한 군함도다. 정부 또한 보다 얼마 남지 않는 일제 침략의 증거물들 보존에 적극 나서야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지난 3일(화)에는 조병창 병원을 역사적 유산으로 보존해달라는 국민청원도 올라왔다.

청원인은 “미군이 오랫동안 주둔하면서 다이옥신 등 맹독성 물질에 심각한 오염이 있었다고 밝혀졌으니 시민에게 공개되기 위해서는 토양정화작업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토양정화작업을 위해 역사적 가치가 큰 조병창병원을 철거하는 것까지 필요하다고 보이지는 않는다. 조병창병원은 한번 철거되면 다시 짓기 어렵고, 과거의 역사유물로서의 가치를 상실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의 목소를 높였다.

또한 “조병창 병원이 철거되면 같은 이유로 캠프마켓 D지역의 많은 건물들도 토지정화를 목적으로 철거될 명분이 생긴다”며 “일본은 군함도마저 자신들의 메이지시대의 산업혁명의 유산으로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하려고 하고 있다. 부평의 조병창 건물들은 일제가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전역을 점령하기 위한 공격의 병참기지로서의 모습이 남은 유일한 곳이므로 세계문화유산이 될 충분할 가치가 있다”고 밝혔다.

끝으로 “인천시 시민참여위원회가 조병창병원을 철거하기로 한다는 결정은 문화유산을 파괴하는 것이고, 졸속적인 문화역사정책이므로 철회돼야 한다. 인천시는 시민참여위원회에게 철거의 결정권이 있다고 미루지 말고, 자체적으로 캠프마켓의 조병창 건물들을 어떻게 보존하고 토양오염문제를 해결할지 정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한국조경신문]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