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양국이 2022년 초까지 용산 미군기지의 25% 면적인 50만㎡를 한국에 반환하는 작업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지난 7월 29일 외교부의 발표에 따르면 주한미군지위협정(SOFA) 합동위원회 양측 위원장이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공동성명을 채택하고 용산기지 반환을 신속 추진키로 했다. 이로써 내년 초까지 용산기지 전체의 27.6%가 반환되면서 용산공원 조성에 탄력이 붙는다고 한다. 하지만 나머지 145만㎡의 반환은 아직 밝혀진 내용이 없고 토양오염 등 환경문제에 대한 협의도 진행된 바가 없다.

용산기지 터는 오랜 옛날부터 한반도 교통과 유통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고려시대에는 침략한 몽고군의 병참기지로 사용되었으며, 임진왜란 때는 왜군의 보급기지로 이용되었고, 1882년 임오군란을 진압한 청나라 군대가 주둔하였고, 이어서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군이 주둔하게 됐고, 러일전쟁과 태평양전쟁에서 일제의 후방기지 역할을 했다. 해방이 되자 미24군단 사령부가 자리를 차지했고 6·25동란이 끝나자 미8군의 주둔지로 자리 잡고 있었다.

용산기지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새로운 방향으로 공원조성계획이 바뀌곤 했다, 용산기지 공원조성은 1991년 미군골프장 지역이 용산가족공원으로 조성되면서 시작되었는데, 이후 전쟁기념관과 국립중앙박물관의 건립으로 시민들과 가까워졌고, 종합적인 용산공원 조성계획이 발표되면서 대한민국 영토의 기능을 회복하는 계기가 마련됐다.

용산공원은 1991년 수립된 시민공원 조성계획을 필두로 2003년 자연휴식공간의 공원기본계획 수립과 2006년 용산기지 공원화계획, 2009년 용산공원 아이디어 공모전을 거치면서 용산공원 조성의 분위기가 점차 고조됐다.

국토교통부는 2012년 용산공원설계 국제공모전에서 ‘미래를 지향하는 치유의 공원’ 작품을 1등 작품으로 선정하고 2020년~2023년 사이에 1단계 용산공원 부분 개장을 하고 2027년에는 용산공원의 대부분을 개장하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2016년 용산공원의 기존계획을 전면 백지화하고 생태공원으로 조성하겠다고 수정 발표를 했했다. 이는 정부 8개 부처에서 용산공원 부지에 국가기관 콘텐츠사업을 추진하겠다는 것을 비롯하여 난개발이 우려되는 일이 많아진 것이 용산공원 조성계획 백지화의 큰 이유가 됐다.

이처럼 용산공원 조성에 대한 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데 이번엔 외곽에서 우려했던 일이 생겼다. 얼마 전에 서울시가 용산 유엔사부지에 총 1197세대 주택 공급 계획을 발표했다. 서울시는 용산공원 바로 맞은편 지역 용산구 이태원동 22-34번지 일대에 지상 20층, 지하 7층, 연면적 47만9548.76㎡ 에 공동주택 420세대, 오피스텔 777실, 호텔과 업무시설 등을 건설하는 ‘유엔사부지 복합개발사업 건축계획안’을 통과시켰다. (본지 제645호 참조)

이번 개발사업의 허가로 우려가 되는 것은 앞으로 용산공원 외곽지역에 이번 경우처럼 초고층건물이 우후죽순 식으로 생긴다면 용산공원은 콘크리트 숲속에 파묻혀서 용산공원은 녹지 섬이 될 것이다. 이때 한 술 더 떠서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용산미군기지 반환 발표가 나자마자 “서울 도심과 용산공원 예정부지 일부에 공공주택을 주는 파격적인 방안도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을 하고 나섰다. 차기 대선 공약에 용산공원의 일부를 주택건설 부지로 변경하자고 나설지 염려가 된다.

그동안 오랜 시간을 허비하고 이제 겨우 공원 면적의 1/4에 해당하는 50만㎡의 면적에 공원조성이 가능해졌는데 미래의 후손에게 넘겨줄 녹색복지 공간조성이 이번에도 차질이 생길까봐 걱정이 크다.

[한국조경신문]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