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계가 2021년 1/4분기부터 활발한 담론과 토론으로 시끄럽다. 우선 지난 3월 16일(본지 626호) 범조경계 전문인 모임이 모 서울시장 후보 조경정책인 수직정원도시에 대한 지지선언을 하자 차라리 반대편 후보를 지지했어야 한다며 반론을 제기했다. 녹색정책을 제시한 것에 대한 정책지지를 한 것임에도 단순히 정치 프레임으로 판단해 다른 후보를 지지했어야 했다는 식의 여론몰이는 지금까지도 논란이 되고 있다.

올해 18회를 맞이한 ‘조경의 날’도 도마에 올랐다. 공원법이 제정된 날 1967년 3월 3일보다 1972년 4월 18일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조경에 대한 세미나’가 개최된 날이 의미가 더 크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한국조경협회는 공식밴드 공지를 통해 지난 2014년 조경의 날 지정일 지정을 위한 합동회의록을 공개하며 진화에 나섰다.

이 시점에서 조경계에 묻고 싶다. 녹색정책을 제시한 정책에 대한 지지가 잘못된 선택이었는가. 공원법이 제정된 날을 조경의 날로 지정한 것이 잘못된 것인가? 이들이 조경산업의 발전을 저해하는 원인이 되고 있는 요인들인가?

부족하지만 조경진흥법이 만들어졌고 올해는 기본계획 개정을 통해 조경산업의 가치상승과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 여기에 풀어야할 숙제도 산적해 있다. 조경지원센터는 조경산업의 핵심적 씽크탱크로 확장해 그 영향력을 키워야 함에도 불구하고 정부로부터 지원은커녕 운영도 정상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수년 전부터 논의되고 있는 ‘조경회관’ 마련 문제에 대해서는 환경조경발전재단과 조경학회가 엇박자를 보이고 있다. 심왕섭 이사장은 추진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지만 조경진 학회장은 자신의 임기 내에서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전임 학회장은 임기를 정리하면서 조경회관 마련 후원금을 전달하기도 했지만 언제 빛을 볼지도 모르는 상황이다.

여기에 조경감리도 누군가 나서 경고등을 깜빡이고 있지만 무관심이다. 산림청은 산림·임업인 먹여 살리기에 바빠서 조경에 신경 쓸 겨를이 없다. 건축가들은 국토부, 교육부 등과 협업을 통해 지속적인 사업영역 확대와 미래 꿈나무 양성에 적극적이다.

조경산업계는 인력부족으로 고민하고, 학생들은 불안한 미래를 걱정하고, 조경계는 젊은 조경가들과의 소통부족으로 단체장들만 바뀔 뿐 변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정치인들 가운데 녹지정책을 제시했을 때, 그것이 옳다고 판단되면 정치프레임을 떠나 그 정책에 박수를 보내고 성원을 해야 한다. 조경계가 지원하고 응원하고 있음을 알려 존재감을 인지시켜야 한다. 그래야 상위법도 마련하고 힘을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조경이 반세기를 맞이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제 모래성 쌓기는 그만해도 될 때다. 사람의 나이로 치면 지천명이다.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성인의 경지로 접어들 때라는 것이다.

미래를 위해 지금 당장 무엇을 먼저 준비해야 할지 꼼꼼히 따져보고 다져나가야 한다. 지금의 50년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쩌면 앞으로의 5년이 더 중요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국조경신문]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