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scape Times 이수정 기자] 농촌진흥청이 올해 하반기 국제사회와 교류를 강화하면서 도시농업 연구 분야의 선도적 역할을 견인할 ‘국제도시농업연구센터’ 설립을 추진한다.

김광진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과장은 “전 세계적으로 우리나라만 도시농업지원법을 갖고 있다. 국제도시농업연구센터 설립으로 세계에 우리 도시농업을 선도적으로 알리는 역할을 할 것이다. 오는 11월 중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하면서 선포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올해 가을 열리는 심포지엄은 한국형 도시농업 모델을 제시하면서 국제사회와 도시농업을 공동으로 연구 협력을 강화하고자 마련됐다. 해외 각국 도시농업 전문가가 참여해 국제 도시농업의 현황 및 발전 방안을 논의하게 된다.

아울러 농진청은 ‘국제도시농업연구센터’ 선포도 진행할 예정이다.

센터 설립 추진을 위해 국제정보 교류 일환으로 영문 누리집을 제작해 국가 간 협력 허브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한국의 도시농업이 도시민에 건강한 먹을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시작한 미국이나 쿠바와 달리 급격한 도시화에 따른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환경운동 차원에서 2000년대 후반 시민단체활동을 시작으로 빠른 속도로 성장했다.

이러한 민간활동에 힘입어 2010년 농진청에 도시농업팀이 신설, 2011년 도시농업지원법 제정, 2012년 서울시 도시농업 원년 선포 및 박람회 개최, 2014년 법정공원으로 서울시 도시농업공원 조성, 2018년에는 도시농업 연구 개발을 수행하는 도시농업연구동 완공 등 정부와 지자체 주도로 도시농업의 법제화 및 국가기관 설립이 추진됐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도시농업 참여자가 2010년 15만여 명에서 2019년 242만 여 명으로 급격히 증가하면서 양적 성장을 이뤄냈다. 텃밭면적도 2019년 기준 132만 여 명으로 10년 전보다 10배 이상 늘어났다.

그러나 지난해 코로나19로 참여자 수가 축소되면서 텃밭면적도 10% 이상 감소했다. 이에 생활권 내 도시농업의 다양한 활동방안도 요구되는 상황이다.

김 과장은 “도시농업의 범위가 나라마다 각각 쓰는 범위가 다르다. 초기 도시농업이 쿠바 같이 생산이 목적이었다면 이제는 도시농업에 볼거리 체험, 치유농업 개념이 함께 들어있다”며,경작공간이 부족한 도시환경에서 농업활동을 확산하고 심신의 건강을 증진하는 등 전 국민이 참여하는 도시농업을 위해선 “(도시농업 영역이) 집 안을 비롯한 실내 생활공간으로 확장돼야 한다. 한국형 도시농업모델로서 ‘K-팜가든’을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조경신문]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