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scape Times 김효원 기자]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으로 촉발되는 경제적, 사회적 위기가 산림면적 축소 및 기후위기를 강화시키고 있다. 이에 현대인이 실천할 수 있는 대응방안이 지난 4일(금) 서울새활용플라자 3주년 포럼에서 제시됐다.

기후위기와 산림면적의 축소, 전염병 증가는 서로 상호작용하며 얽혀있다. 첫 시작의 고리는 화석연료 사용에 따른 대량의 온실가스 배출이다. 기후위기로 인해 숲이 파괴되고, 기상이변 등으로 산림면적이 줄어들면 인간과 야생동물 사이의 이격거리 또한 감소한다. 이로써 인수공통감염병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고, 바이러스가 변이되거나 활동성에 변화가 생긴다. 전염병의 증가는 감염 예방과 치료 과정에서 일회용품 사용을 증가시키고, 폐기물 배출과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며 기후위기를 심화시키는 과정을 밟는다.

윤순진 서울대 교수는 “코로나19의 위기는 기후위기의 예행연습 수준”이라고 밝히며, 지금부터 시민들이 함께 할 수 있는 4가지 실천 방안을 제시했다.

첫 번째는, 자발적으로 소박하게 살기다. 과소비를 지양하고 에너지 소비 및 폐기물에 대한 비용은 제대로 부담한다.

두 번째는, 에너지 전환과 지속가능한 사회로 전환 의지를 가진 정치인과 대표를 선출하는 것이다. 대통령은 물론 국회, 지방의회, 지자체장 등을 에너지 전환, 기후 친화적인 대표를 선출할 것을 독려했다.

세 번째는 화폐투표다. 소비는 우리가 매일 돈으로 하는 경제 투표행위와 같기 때문에, 폐기물 배출과 에너지 소비가 적고, 근거리에 있는 물건을 사는 소비를 하자고 추천했다.

네 번째는 환경, 에너지 관련 시민단체를 후원 또는 참여하거나 직접 만드는 것도 좋다고 말했다. 함께하는 연대를 통해

정부는 그린뉴딜이라 정책카드를 통해 코로나19를 비롯한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지난 1일(화) 2021년 예산안을 공개하면서 미세먼지 저감 등 깨끗한 공기, 먹는물 안전관리 강화, 도시숲과 자원순환 촉진 등 녹색생활 공간 조성 등에 3조 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윤 교수는 "코로나19에 대응하는 것은 결국 환경문제에 대응하는 것과 연계가 된다"고 말하며, 꾸준히 환경이슈에 대해 시민들의 삶도 변화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조경신문]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