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scape Times 김효원 기자] 서울시가 건물, 수송, 도시숲, 신재생에너지, 자원순환 등 5대 분야에서 대대적인 그린뉴딜을 추진한다. 

서울 온실가스 배출의 94%를 차지하는 3대 주범인 건물, 수송, 폐기물 배출을 가장 핵심적으로 줄인다. 또한 도시숲 확대를 통해 배출된 온실가스를 흡수하고, 신재생에너지로 전환을 가속하는 전략이다.

건물에는 경로당이나 어린이집, 보건소 등 취약계층이 많이 이용하는 노후 공공건물 241곳부터 그린리모델링을 통해 ‘제로에너지건물’ 수준으로 에너지효율을 높인다. 내년부터는 1천㎡ 이상인 공공건물은 건물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제한하는 ‘건물온실가스총량제’도 도입한다.

민간 신축건물에 대해서도 ‘제로에너지건축(ZEB) 의무화’도 정부 로드맵보다 앞당겨 2023년 시작한다.

서울시 관용차량과 시내버스, 택시는 단계적으로 전기차와 수소차로 전면 교체한다. 2035년부터는 전기, 수소차만 등록 가능하도록 법 개정을 추진하고, 사대문 안 녹색교통지역 내에서는 전기, 수소차만 운행이 가능하게 한다.

온실가스를 흡수하는 도심 속 녹지 공간은 2022년까지 ‘3천만 그루 나무심기’를 통해 확대해 나간다. 3천만 그루 나무심기는 단순한 나무심기에서 탈피해 지역별, 공간별로 특화된 도시숲을 조성하고 다양한 생물이 공존하는 도시생태계 복원을 지향한다.

▲도시 열섬현상을 완화하는 바람길 숲(관악산, 안양천, 북한산 중랑천, 우이천 일대 12만㎡) ▲수변환경과 어울리는 한강숲(약 29만㎡) ▲하천 둔치와 제방 녹화를 통한 하천숲(약 40만 ㎡) ▲산업단지 주변의 미세먼지 차단숲(3만㎡) ▲보행친화 공간 확대에 따른 가로숲(세종대로 3천㎡) 등이 2022년까지 조성 예정이다.

시는 기후변화 대응 도시숲 약 85만㎡을 신규 조성하고, 몽골 등 동북아지역의 사막화 방지를 위해 올해 20ha에 2만여 그루를 추가로 심는다.

상하수도시설, 도시철도시설 등 공공시설에는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한다. 폐기물 발생은 원천적으로 줄이고, 발생된 폐기물을 자원화하는 순환경제를 통해 2025년까지 생활폐기물 직매립 제로화를 실현한다.

시는 최근 1인가구 증가와 코로나19로 인한 배달문화 활성화 증가세에 따라 생활폐기물이 늘어나는만큼,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2025년까지 자원회수시설 1곳(시설규모 500톤/일)을 추가 건립하고,기존 4개 자원회수시설(강남, 노원, 마포, 양천)에서 하루 약 580톤 추가 처리가 가능하도록 시설개선을 추진한다.

또 재사용, 새활용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재사용·새활용 제품 판매부터 수리, 수선을 지원하고, 자원순환 체험과 교육이 이뤄지는 ‘리앤업사이클플라자’를 2025년까지 1자치구 1곳으로 확대한다.

기존의 성동구 서울새활용플라자는 확장 건립해 2024년까지 새활용 종합 테마파크로 재탄생시킨다.

한편, 이번 정책들은 서울시가 선언한 ‘2050년 탄소배출 제로 도시’를 위한 로드맵 전략으로, 작년 11월부터 전문가와 시민단체 25인으로 이뤄진 기후행동포럼에서 발굴했다. 시는 연말까지 시민 대토론회, 포럼, 자문회의 등 가계 의견수렴을 거쳐 이번 대책보다 보다 구체적인 최종 계획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한국조경신문]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