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 부산시

[Landscape Times 김효원 기자] 부산시가 도시재생사업의 패러다임 변화와 정부의 정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30 부산광역시 도시재생 전략계획’을 수립(변경)했다.

주요 내용에는 향후 10년간 전략적으로 추진할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을 지정하는 안이 담겼다. 

‘다함께 만들고, 다함께 누리는 포용도시 부산’으로 비전을 설정하고, 주민 공청회와 전문가 자문, 관련기관 의견협의 등 다양한 의견수렴 절차와 도시재생위원회 심의를 거쳐 전략계획을 확정됐다.

그동안 부산시는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26곳을 지정해 추진해 왔으나 이번 계획을 기점으로 92곳이 더 추가돼 대폭 확대될 전망이다. 시는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을 확대해 뉴딜사업과 4차산업을 연계한 일자리 창출 및 자치구별 현안 사업에 능동적으로 대처한다는 방침이다.

이번에 지정된 92곳의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은 기존 전략계획 지역을 분할·축소해 현실화하고, ‘구·군 도시쇠퇴진단’과 주민 의견을 반영해 도시재생 의지가 높아 우선 선정된 곳이다. 이로써, 현재 사업이 진행 중인 16곳을 포함해 부산시의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은 총 108곳이다.

활성화 지역 유형에는 총 4가지로 분류한다. ▲쇠퇴한 산업기능을 회복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경제기반형’에 남구 우암부두 일원과 사상구 사상공업지역 등 7곳 ▲역사·문화·관광자원을 활용해 지역 상권을 활성화하는 ‘중심시가지형’에 동구 부평깡통시장, 금정구 부산대학 등 16곳 ▲주민공동체 활성화와 골목상권 활력 증진을 위한 ‘일반근린형’에 북구 덕천시장, 사상구 모라시장 등 25곳 ▲노후 주거지를 정비하고 생활여건을 개선하는 ‘주거지지원형’에 중구 영주동, 서구 남부민동 등 44곳을 지정했다. 그동안 재개발·재건축 지역으로 지정되었지만 실행이 이루어지지 않고 해제된 12곳도 새롭게 포함돼 뉴딜사업으로 추진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했다.

신규 도시재생활성화지역에 소요되는 총 사업비는 2조 2100억 원으로(국비 1조 1050억, 시비 6400억, 구비 4650억) 추산된다.  ▲경제기반형(7곳)에 3500억 원 ▲중심시가지형(16곳)에 4800억 원 ▲일반근린형(25곳)에 5000억 원 ▲주거지지원형(44곳)에 8800억 원이 소요될 예정이다.

또한, 공간전략으로 부산시 전역을 크게 3개 생활권(중·서·동부산)으로 나누고, 생활권마다 2개의 재생구역을 두어 총 6개 재생권역(원도심, 동래, 강동, 강서, 동부, 기장)을 설정했다. 이에 권역별 잠재력을 진단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특화된 전략계획도 수립했다.

특히 이번 전략계획에는 ▲주민공동체 역량 강화 ▲도시재생 전문인력 양성 ▲도시재생 전문기업 육성 ▲빈집 등의 유휴공간 활용대책 ▲도시재생지원센터의 역량 강화 방안 등 지속 가능한 부산형 도시재생 실행방안도 함께 담았다.

부산시는 지역별 인구, 사업체수, 노후주택 등 쇠퇴지수와 잠재력 분석에 따른 우선순위에 맞춰 1~3단계로 구분해 2030년까지 매년 7~8개 활성화 지역에 국가지원을 받아 도시재생사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앞으로 지역별 특성과 문화·역사적 자산 등을 고려한 특색있고, 체계적인 도시재생 추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오늘 도시재생전략계획이 확정 공고되면 활성화 지역은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서 자율주택정비사업 등 융자 신청이 가능하다. 자치구도 활성화 계획을 마련해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소규모재생사업 공모 등 다양한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부산시 관계자는 “앞으로도 부산지역의 특성을 살린 부산만의 도시재생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추진해 국비 확보를 위해 노력하겠다”라며 “이번 도시재생전략계획 수립을 계기로 지난 10년간 부산시 도시재생사업을 뒤돌아보고, 앞으로 10년간은 주민역량 및 마을공동체 자생력 강화를 통해 주민이 중심이 되는 도시재생 실현을 위해 변화와 혁신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국조경신문]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