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많은 논란 속에서도 최종 마스터플랜이 발표된 사업이 있다.

‘4대강 살리기’

한강에서 낙동강, 금강, 영산강에 이르기까지 전국 12개 시도를 굽이굽이 흐르는 ‘4대강을 살리겠다’고 나선 사업이 그것이다.

우리는 그 이름에서부터 희망을 찾고 싶다.

혹자는 ‘죽어가고 있지도 않은데 살리겠다니 모순이다’고 말하거나, ‘대운하의 전주곡’이라며 발끈하기도 한다.

생명체를 다루는 유일한 건설업종이라는 점에서 우리 조경계는 그동안 4대강에 생명을 심겠다고 추진하는 이 사업의 참뜻을 이해하고자 깊이있게 토론하며 스스로 해야 할 역할은 무엇인지 오래 준비해 왔다.

이 사업이 단순한 대하천 정비사업에 그치는 것이 아닌 이유는, 수자원 확보·홍수 예방·수질 개선과 같은 기능적인 부분을 넘어서 생태·문화·관광·예술·레저와 같이 ‘강’을 중심으로 한 복합적인 워터프론트를 조성하고 그곳에서 쾌적한 인간활동이 파생되기 때문이다.

지금 조경가들은 각자의 4대강을 향해 가고 있는 중이다.

4대강 살리기 사업은 현 정부의 최대 국책사업으로 예산규모나 국가조직 또한 방대하다.
당장 눈에 보이는 22조원의 사업비 말고도 일선 부처에서 직접 추진하게 될 연계사업비까지 포함하게 되면 30조원도 훨씬 넘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국토해양부 산하에 장관급의 4대강살리기추진본부가 별도로 구성돼 문화체육관광부, 농림수산식품부, 환경부, 지식경제부, 행정안전부, 산림청, 소방방제청 등에 이르기까지 많은 부처 T/F팀과 3개 국가위원회까지 협력하는 대규모 중앙정부 네트워크가 작동하고 있는 상황이다.

녹색성장 시대 지속가능한 개발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머리 맞대고 고민할 필요가 있다.  새롭게 등장한 정부 네트워크와 조경가들은 어떻게 소통해야 좋을 지 물길을 열어야 한다.

 

논설실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