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 포럼’이 ‘냉전의 유산에서 평화의 상징으로’라는 주제로 DMZ의 평화적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19일 일산 킨텍스1전시장에서 개최됐다.
‘DMZ 포럼’이 ‘냉전의 유산에서 평화의 상징으로’라는 주제로 DMZ의 평화적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19일 일산 킨텍스1전시장에서 개최됐다.

 

[Landscape Times 이수정 기자] DMZ의 평화적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DMZ 포럼’에서 자연환경, 역사, 유적, 문화 등 DMZ 정체성 연구를 위한 전방위적 기초연구가 활용방안에 선행돼야 함이 제기됐다.

이날 ‘분단의 복원과 생활권 잇기’를 주제로 한 포럼 기획세션에서는 분단 이전 DMZ 역사 추적, 장단면의 사라진 옛 마을 복원과제, DMZ와 국경의 장벽을 넘어 오랜 평화교류를 통해 하나의 생활권을 구축한 아일랜드 접경지역 사례 등이 공유됐다.

발제자로 나선 양보경 성신여대 총장·지리학자는 “DMZ”에 사람과 도시가 부재함을 지적했다. 양 총장에 따르면 DMZ를 평화적인 곳으로 조성하기 전 우선 역사, 유적, 지리, 자연환경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가 필요하며 접경지역을 포괄 관리하는 통합관리위원회를 설치해 기초조사가 선행돼야 한다. 또한 양 교수는 이러한 기초연구를 기반으로 문화유적 실태, 지형 등 원 자연환경, 지리적 분포, 문화유적지역을 파악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어지는 발제에서 안창모 경기대 대학원 건축설계학과 교수는 전쟁 이후 군사분계선이 그어지면서 DMZ 내 두 개의 마을로 분리된 옛 마을의 복원방법론을 제안했다. 안 교수는 남측의 대성동과 북측의 기정동 마을잇기 과제는 잊혀진 삶의 현장을 복원하는 동시에 이어나가는 사업이어야 한다며 전쟁으로 사라진 마을과 도시를 복원하는 것은 분단을 극복하는 중요한 시도라 평했다.

알렉산더 아트우드 전 북아일랜드 사회환경부 장관은 한 세기 가까이 분단돼 생활권이 분리됐던 북아일랜드 사례를 통해 점진적인 평화구축을 위한 20여 년의 여정을 소개하며, 국경지역의 정상화를 위해 수자원 보호, 국경연결, 국경지역 개선 등 포괄적인 정책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998년 영국-아일랜드 평화협정 이후 국경지대 갈등 해소 같은 사회적 문제 해결은 물론, 접경지역의 자연자산인 지질공원 부활로 관광산업활성화를 언급했다.

토론자로 참석한 정근식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는 “이번 포럼이 큰 이벤트지만 기초연구바탕으로 포럼이 향후 지속적으로 진행돼야 한다”며, 이날 제안된 남북통합관리위원회처럼 기초연구에 기반한 콘퍼런스가 계속돼야 한다고 주최 측에 건의했다.

한편, ‘DMZ 포럼’은 경기도가 9월 한 달간 추진하는 ‘렛츠 DMZ’ 행사 일환으로 ‘냉전의 유산에서 평화의 상징으로’라는 주제로 DMZ의 평화적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19일(목)부터 이틀간 일산 킨텍스1전시장에서 개최됐다. [한국조경신문]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