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scape Times 이수정 기자] 도시공원은 도심에서 없어서는 안 될 녹색허파다. 기후변화 대비, 생물다양성 보존, 열섬방지, 미세먼지 저감, 치유기능 등 공원의 다원적 가치는 셀 수 없이 많다. 내년 시행되는 도시공원일몰제로 해제되는 수많은 도시공원을 지키기 위한 지자체 노력과 시민단체의 분투가 곳곳에서 들려오는 가운데 도시공원에 대한 운영관리 방안도 함께 모색되고 있다.

얼마 전 한국을 방문한 일본공원재단 및 일본 NPO 관계자들은 도시공원을 유지 관리하는 데 시민과의 협치에서 지속가능한 도시공원의 모델이 나왔다고 꼽았다. 경제부흥기 이후 빈약해진 도시공원은 1972년 시작된 도시공원 5개년 계획을 시작으로 2000년까지 31년간 여섯 차례에 걸쳐 확장되기 시작했다. 도시공원은 계속 늘어났지만 행정이 관리하기에는 한계였다. 게다가 경기침체와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행정은 효율적이면서도 질적인 공원관리를 위해 광범위한 민간 대상의 지정관리자제도를 채택했다.

2003년 이후에는 지속가능한 도시공원관리를 위해 관리주체가 민간에게 이양됐는데 공원을 포함한 공공시설 전반에 걸쳐 영리기업, 재단법인, 비영리단체 등 민간이 관리대행을 맡고 있다. 그 중 사토야마공원을 관리하는 NPO Birth는 대표적 성공사례다. 그 외에도 국가가 조성한 16개 국영공원부터 1500여개에 이르는 지자체 공원까지 크고 작은 공원이 민간에 의해 자율적으로 관리 운영되고 있으며 히타치 해변공원의 경우 일주일 방문객이 60만 명일 정도로 성황이다.

제도적 지원으로 공원운영은 독자적 수익구조로 이어졌고 발생한 수익금은 재정자립의 기반이 됐다. 또, 공원으로 환원된 수익금을 바탕으로 공원관리의 질적 향상을 가져왔다. 무엇보다 공원을 중심으로 한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는 마을과 도시재생으로 이어지면서 지역 커뮤니티 강화에도 기여했다. 공원이 가진 자원을 활용해 다양한 공원프로그램은 물론 사회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 자원봉사 등 시민 참여를 이끌면서 도시민의 생활반경도 확대됐다. 이는 공원이 함축한 수많은 가치 중 일부에 불과할 것이다.

한국에서도 도시공원관리의 민간위탁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서울시가 직영해 관리하던 서울로 7017이나 문화석유비축기지 등 서울시내 도시공원을 포함한 공공시설이 민간위탁 진행 중에 있다. 서울숲을 비롯한 몇몇 공원들은 이미 민간위탁으로 운영되고 있다. 공원관리 주체와 시민 간 협치는 이제 공원운영 담론의 대전제가 됐다. 다만 도시공원이 지속가능하기 위해선 공원관리 주체인 민간 중심의 전문성 강화가 뒷받침돼야 한다. 식재설계부터 시설 전반을 아우르는 공원관, 시민참여를 위한 창의적 콘텐츠 개발, 공원과 마을을 연계할 도시재생 등 다양한 전문 분야의 민간이 참여할 때 더욱 활성화될 것이다. 무엇보다 지속가능한 도시공원의 물리적 기반으로서 안정적인 재정 확립이 선행돼야 할 것이다. 아직 걸음마단계인 도시공원의 운영, 이제 체계적인 공원유지관리를 위한 장기적 세부 플랜이 구체적으로 논의될 때다.

[한국조경신문]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