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scape Times 이수정 기자] 오는 10월 파주 임진각 수풀누리 일원에서 열리는 2019 경기정원문화박람회 정원공모전에서 선정된 14개 정원 작품이 일반에 공개됐다.

‘평화의 정원’을 주제로 공모한 올해 박람회 공모전은 두 가지 유형(A타입 12m×24m, B타입 12m×12m)으로 구분된 쇼가든과 리빙가든(8m×8m) 부문으로 진행해 쇼가든 6개, 리빙가든 8개로 최종 가름됐다.

군사분계선과 인접한 박람회 대상지인 파주의 지역성을 반영해 전쟁과 평화, 분단과 통일, 단절과 소통, DMZ와 민통선, 상처와 치유 등 박람회 정원주제에 직간접적으로 충실한 작품이 두루 선보였다. 

 

‘난춘 뒤 난춘’
‘난춘 뒤 난춘’

‘난춘 뒤 난춘’

이동화, 강재현, 박제홍, 최아람, 한다은_신구대 환경조경과

‘어지러운 봄 뒤 찾아오는 따뜻한 봄’이라는 뜻의 제목이 말해주듯 정원 통일 전과 통일 후의 시간이라는 두 개의 공간으로 나눠 디자인했다.

평화가 찾아온 시대 새로운 공간으로 안내하는 장치로써 두 개의 난춘역 ‘亂春驛’과 ‘暖春驛’을 통해 시대상을 담았다. 전쟁으로 끊어진 철로와 가로막힌 가벽으로 조성된 과거의 공간을 지나면 평화의 시대를 상징하는 밝은 정원이 등장한다.

식재 또한 통일 전이 암울한 톤이라면 통일된 미래는 다채로운 색깔의 식재로 표현함으로써 통일 전후의 이미지를 대조적으로 디자인했다.

 

'마루에 마주 앉아'
'마루에 마주 앉아'

‘마루에 마주 앉아’

이소희, 김병도, 이현진, 조승주_신구대식물원 수목원전문가 7기

한국전쟁이 빚은 분단의 역사를 단계적으로 표현한 정원으로, ‘식사’와 ‘마루’를 콘셉트로 디자인했다. 과거와 현재의 단절을 딛고 마루에서 함께 식사하는 장소를 연출함으로써 평화로 가는 길을 소통이라는 의미와 연결했다.

남과 북 주민들의 공통 식문화인 밥을 표현하기 위해 벼과식물을 식재했고, 일상생활의 중심이자 소통과 식사의 장소인 마루를 광목천과 함께 설치, 점점 낮아지는 벽을 통해 단절된 과거로부터 평화로 나아가고자 하는 소망을 담았다.

갈등이 해소되는 장소 ‘마루’로 가기 전 전쟁으로 이로 인해 생태계 보고가 된 DMZ 천이과정을 식재로 표현하고자 했다.

 

‘바람이 통하다’
‘바람이 통하다’

‘바람이 통하다’

조서희, 이장우_가천대 조경학과프리랜서가든디자이너

창을 넘나드는 바람(Wish)과 평화를 기원하는 바람(Wind)의 동음이의어에 착안해 정원을 디자인했다. 공간을 나누는 경계이자 기대감을 주는 장치로써 ‘창’을 소재로 선택, 평화에 대한 사람들의 바람과 대상지인 평화누리를 상징하는 바람이 창을 통해 넘나들며 마침내 편안한 공간으로 만들어지기를 의도했다.

공중에 매달린 다양한 창틀은 바람이 지나갈 때 흔들리며 관람객에게 시각적 흥미를 유발하고 대상지인 입구공간과 내부공간을 구분하고자 마운딩을 조성, 위요감을 더했다. 사람들의 바람이 모인 공간에 이르면 일상의 분위기를 형성하는 공간과 마주한다.

 

‘아리랑고개路’
‘아리랑고개路’

‘아리랑고개路’

정은지_(주)윤토

‘아리랑’은 남과 북으로 분단되기 전부터 오랫동안 불린 노래로, 한민족을 이어주고 하나로 묶어주는 우리 민족의 민요다. 특히 홀로아리랑 가사를 마치 평화로 가는 여정이 고갯길과 구불구불 길을 가듯 험난하지만 함께 넘어가자는 통합의 의미로 해석해, ‘아리랑’을 모티브로 평화의 메시지를 담았다.

정원의 주요계획도 가사를 직접 발췌한 듯 동선은 험한 아리랑 고갯길을 상징, 수묵화에서 영감 받은 산 플랜터는 아리랑 고개를 의미, 철평석 판석은 한반도의 산수지형을 의도했다. “가다가 힘들면 쉬어가는” 벤치와 아리랑 메시지를 정원 속에 숨겨 관람객이 고갯길을 걷도록 유도했다.

 

‘일상다반’
‘일상다반’

‘일상다반’

강성수, 김병찬, 김병철, 남호용, 박성훈, 박지현, 안준석, 원광식_서울시립대 조경학과

식사라는 당연한 일상처럼 평화가 찾아온 날 한민족이 다 같이 식탁에 둘러앉은 ‘일상다반’의 풍경을 정원으로 형상화했다.

입구 쪽 높이 1.5m 벽이 점차 낮아지면서 남북 간 화해의 미래를 상징, 길의 끝에 이를 즈음 점차 드러나는 풍성한 식재와 함께 테이블이 있는 평화의 휴식공간을 만나게 한다. 이 곳에서 화해와 신뢰를 느낄 수 있도록 갈라진 판석으로 페이빙된 보행동선과 분리해 대비를 의도했으며, 잔디밭과 그라스류의 식재로 편안한 분위기를 연출하고자 했다.

 

‘태풍의 눈’
‘태풍의 눈’

‘태풍의 눈’

변혜은, 조수현, 최형윤, 강병분, 조영범, 가현정_수원대미술대학원 화예조형학과

평화의 길로 가는 험난한 여정을 태풍의 눈에 도달하는 과정으로 디자인했다. 세상의 갈등을 함축적으로 표현한 자연현상 중 하나가 ‘태풍’이다. 고기압과 저기압의 급작스러운 공기의 밀도차로 발생한 태풍은 눈의 안쪽으로 갈수록 풍속이 증가하는데 그 중심은 고요하다.

흔들리는 그라스로 갈등의 시작을 알리고 근경에 심긴 대추나무로 갈등의 심화를 표현, 중심부에 자리한 ‘태풍의 눈’을 통해 잔디와 물, 솟대로 고요함을 그리고자 했다.

 

'파란 발걸음'
'파란 발걸음'

‘파란 발걸음’

김수현, 고법_신구대 환경조경과

지난해 도보다리에서 열린 정상회담이 평화를 향한 첫걸음이라 여겨 파란색의 도보다리를 주요 시설물로 배치했다.

도보다리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하늘색 디딤목을 사용, 난관을 형상화한 38선 철책을 활용해 덩굴성식물이 자랄 수 있는 트렐리스로 디자인했다.

도보다리가 철책을 관통하는 모습을 동선으로 계획해 국경을 넘어서는 모습을 연상케 했으며, 동선 중간 원형의 티테이블과 데크 공간을 통해 화해, 영원, 공존의 의미를 부여했다. 주요 식재는 남북한의 국화인 무궁화와 함박꽃나무를 사용했다.

 

'GP2019-Garden Post'
'GP2019-Garden Post'

 'GP2019-Garden Post'

박지원, 이용대_(주)아침조경디자인

분단의 시작을 경계에 놓인 초소에 비유한 정원으로, 경비소나 전방 GP 등 안과 밖을 구분하는 초소 개념은 생활 속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 DMZ에 있는 GP가 그러하듯 여전히 차가운 느낌의 초소를 단절이 아닌 만남, 평화의 시작점이 되기를 희망하는 의미에서 ‘Guard-Post’에서 ‘Garden-Post’를 제안했다.

기존 초소 이미지를 경계를 무너뜨리고 따뜻하게 반기는 공간으로 전환하기 위해 자작나무, 산딸나무, 그라스류, 야생화 등으로 식재 연출했다. [한국조경신문]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