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1일 '2019 산림·임업전망'에서 열린 '산림서비스산업의 동향과 전망' 발표회 [사진 김진수 기자]
지난 31일 '2019 산림·임업전망'에서 열린 '산림서비스산업의 동향과 전망' 발표회 [사진 김진수 기자]

[Landscape Times 김진수 기자] “물을 관리하던 국토교통부가 올해부터 환경부로 파트를 넘겼다. 또한 국토부는 도시공원을 지정만 하고 관리를 하지 않고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산림청에서 다시 생각해야 할 부분이다”

지난 31일 열린 ‘2019년 산림·임업전망 발표대회’에서 박찬열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관의 이같은 발언은 도시공원을 산림청의 영역으로 가져와야 한다는 취지여서 논란이 될 것으로 보여진다. 

 특히, 산림청이 시숲법 제정을 추진하면서 도시숲의 범위에 도시공원을 포함하는 문제를 두고 조경계와 논의를 하는 과정에서 나온 말이어서 더 민감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여진다. 

이날 박 연구관은 '도시숲의 환경서비스와 서비스기반 산업화 방안'에 대한 발표를 통해 “침투이론에 의하면 어떤 구성 요소가 30% 이하로 떨어지면 복구하기가 힘들다고 한다. 위성상으로 볼 때 서울시의 녹지비율은 27%로 조사된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큰 규모의 수목과 화단을 임대해주는 ‘수목 배달 서비스’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인공미스트 분사 ‘그린 쉘터’ ▲VR을 이용해 숲을 체험하는 ‘사운드스케이프·버츄얼 리얼리티’ ▲도시숲 기반 대학 교육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땅값이 높은 서울 같은 경우 도시에서 임야를 매입하고 조성하는 일이 경제적이나 사회적으로 쉬운 일은 아니다. 하지만 정부를 비롯해 기업, 시민이 소통과 협력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며 작은 사업체에 기반한 ‘도시숲그린인프라’ 산업이 필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이어 도시숲의 환경서비스는 기존 임업인 1차, 2차 산업보다는 3차 산업 더 나아가서는 6차 산업의 핵심요소라고 주장하며 이를 위한 국내 대학 인재 양성 프로그램이 절실하다고 전했다.

[한국조경신문]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