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석희 기자
배석희 기자

[Landscape Times 배석희 기자] 최근 몇 년 사이 미세먼지 문제는 국민적 관심사로 떠올랐다. 미세먼지에 대한 불안감에 정부는 범부처 차원에서 미세먼지 저감대책을 내놓고 있다.

저감대책 대부분은 발원지를 찾아서 발생량을 줄이는데 초점이 맞춰졌지만, 이미 발생한 미세먼지에 대한 저감대책도 함께 추진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숲과 공원녹지다.

산림청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미세먼지와 도시숲을 연계해 ‘미세먼지차단숲’, ‘도시바람길숲’ 조성방안을 제시하는 등 올해 도시숲 예산으로 1150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한동안 정체됐던 도시숲사업이 미세먼지 저감대책과 맞물려 국민적 관심 속에 사업의 속도를 내고 있다.

도시숲과 마찬가지로 미세먼지 저감효과가 큰 도시공원은 어떨까? 불행하게도 1년 6개월 뒤 시행하는 공원일몰제로 인해 상당수의 도시공원은 사라질 위기에 처해있다.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위해 도시숲을 만들면서 한쪽에서는 도시공원이 사라지도록 내버려두는 웃지 못할 일이 벌이지고 있다.

정부정책을 탓하기 전에 사회적 이슈에 대한 조경계의 역할을 지적하고 싶다. 5~6년 전 조경계는 국가도시공원과 공원일몰제를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해 제안했다. 결과적으로 국가도시공원이라는 상징성을 담은 법 개정에 만족해야 했다. 이때는 노력이라는 걸 했다.

그 이후 미세먼지 문제가 대두했을 때, 아니 산림청에서 미세먼지와 도시숲을 연계했을 때 조경계는 미세먼지와 미집행도시공원을 연계한 정책발굴에 시도는 했었는지 의문이 든다.

뿐만아니다. 문재인 정부가 핵심사업으로 추진 중인 도시재생뉴딜사업에 연 10조원씩 총 50조 원을 투입한다고 했을 때 건축, 토목, 도시계획, 교통 등 모든 분야에서 도시재생뉴딜사업과 연계할 정책발굴에 혈안이 됐었다. 당시 조경계는 어땠을까? 각기 다른 조경단체에서 한 번씩 2차례 정도 토론회를 한 것이 전부로 기억된다.

지난 4년여 동안 조경계는 중요한 사회적 이슈에 대한 대응전략이 부재했다. 특히, 공원일몰제나 미세먼지의 경우 조경분야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이슈임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건 가장 큰 실수로 남을 듯 하다.

2019년 1월 조경계를 이끌어갈 수장이 바뀌었다. 그리고 조경계의 씽크탱크라고 불리는 ‘조경지원센터’도 지정됐다. 새롭게 시작하는 만큼 조경의 미래 먹거리를 위한 조경정책 발굴과 사회적 이슈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축하길 기대해본다.

배석희 기자
배석희 기자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