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설명 : 지속가능한 도시농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토론회가 (사)전국도시농업시민협의회 주최로 지난달 27일 서울시 동부여성발전센터에서 개최됐다.
 지속가능한 도시농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토론회가 (사)전국도시농업시민협의회 주최로 지난달 27일 서울시 동부여성발전센터에서 개최됐다.

[Landscape Times 이수정 기자] ‘지속가능한 도시농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토론회가 (사)전국도시농업시민협의회 주최로 지난 11월 27일 서울시 동부여성발전센터에서 개최됐다.

본 토론회는 도시농업 활동가 및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민간단체의 정체된 도시농업활동을 돌파하고, 도시농업이 직면한 문제 및 의제를 공유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도시농업의 공공성 강화를 비롯해 도시먹거리 정책과 연계된 다양한 도시농업 활동방안 및 서울시 농지보전 정책방향, 도시농업연구소 발족 등 구체적인 도시농업 정책과 전략들이 오갔다.

도시농업의 정체기, “공공성”과 

지역순환생태계 확장으로 극복해야

먹거리 매개로 지역공동체와 결합

‘도시농업의 공공성과 확장성’을 주제로 발제를 시작한 김진덕 (사)전국도시농업시민협의회 대표는 “도시농업의 의제들을 정리하는 과정의 토론회다. 농민단체도 같이 논의해야 하는 사안이다. 서울의 도시농지 활용과 도시먹거리 마스터플랜 정책이 정립되고 정착하는 과정에서 도시농업의 역할이 명확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아직도 도시농업의 홍보가 개인적 가치에 맞춰있다. 농업, 지구, 환경 등 큰 담론으로 부각되지 않는다”며, “공동체를 건강하게 만드는 요소가 공공성이다. 공동체 뛰어넘어 시민과 공유하는 공공성 영역으로 발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화성시에서 열린 대한민국 도시농업박람회 내 조성된 선큰가든을 일례로 들며 “70여 명 도시농업관리사가 가꾼다. 70명 주민들이 배우면서 관리하는데 공유지에 만들어지다보니 사람들에게 좋은 모델이 됐다. 다양한 작물과 먹거리로 경관 조성하며 시민들의 공유 공간 만든 좋은 사례다”고 말했다.

공공성과 함께 도시농업의 확장성도 도마에 올랐다. 고령화된 농촌사회에서 도시농업의 가능성과 도농상생 비전에서 먹거리 책임지는 농민과의 연대는 도시농업이 풀어야하는 숙제다. “농가인구 242만 명, 도시농업인구 190만 명 시대다. 농업인이 소멸되고 고령화되고 있다. 생산은 누가 책임질 것인가. 근본적인 문제에 부닥쳤다. 스마트팜이나 자본이 농업을 점유할 수밖에 없다. 청년농업도 스마트팜에 유입되는데 도시농업도 생산을 책임지는 영역으로 나아가 예비농업인을 육성하는 단계로 발전할 수 있다”고 전했다.

그동안 도시농업과 인접하지만 적극적으로 개진되지 못했던 도시먹거리정책에서 도시농업의 역할을 굳히자는 의견도 있었다. 로컬푸드 협동조합 대표자이자 마을공동체 대표자로 활동하는 김일영 농도함께협동조합 상임이사는 생산보다 먹거리소비에 이슈가 집중되며 서울시가 추진하는 먹거리마스터플랜 체감온도가 낮다고 지적하며, 농업의 가치와 직결된 먹거리정책에서 “도시농업이 지역공동체 단위와 결합해 역할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다시 말해 도시농업이 불특정다수와 교류하기보다 먹거리를 매개로 특정지역 공동체와 결합하면서 먹거리정책의 주체가 돼 도시농업의 공공성을 확장시킬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활동(학교텃밭사업, 사회급식, 유관민간주체와의 공동작업)과의 연계성, 지역경제와의 협력체계, 생산‧소비‧유통‧판매를 통제하는 도시소비자생활협동조합 등을 제시하며 “기초자치 단체 수준 푸드플랜 거버넌스 구축”과 “도시농업 카테고리에 갇히기보다 지역순환 생태계로 넓혀 나가야”함을 피력했다.

현재 도시농업의 중요 장이라 할 수 있는 농지가 5년간 77%로 급격히 감소한 것도 당면 문제다. 김원주 서울연구원 연구위원은 “농지관리의 원칙이 없고, 수요가 과측정된 도시기본계획” 등 관리주체의 이원화와 계획 부재를 꼬집었다. 말미에 서울시 농지보전에 대해 도시적 상황을 반영 못하는 경자유전 원칙, 지방 우량농지 위주 농지보전 정책, 농지 모니터링 부재 등을 비판하며 임차가능한 법 개정, 농지전용 방지 위한 조례 제정, 농지일제‧전수조사 통한 정책방향 수립을 과제로 시사했다.

김진덕 (사)전국도시농업시민협의회 대표가 ‘도시농업의 공공성과 확장성’을 주제로 토론회 발제자로 나섰다.
김진덕 (사)전국도시농업시민협의회 대표가 토론회에서 ‘도시농업의 공공성과 확장성’을 주제로 발표했다.

도시농업, 녹색인프라 틀에서 접근 필요

민민네트워크거점…연구소 발족 시급

발제에 이은 패널 토론회에서는 위기를 맞은 도시농업 해법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오충현 동국대바이오환경과학과 교수는 민간단체 활동에 힘입어 도시농업 관련 지원법과 조례 제정으로 활성화된 도시농업이 관 주도로 오히려 한계에 직면한 도시농업을 지적, “정부 주도 도시농업정책보다 시민영역에서의 추진 활성화”를 주장하며 “법으로 규정하기보다 시민운동 일환으로 진행되는 도시농업 방향성을 재설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철환 온순환협동조합 이사장은 강동구 내 도시농업 민원이 빗발친다며 “도시농업의 위기감”을 체감한다고 우려했다. 실제로 텃밭에서 사용되는 미숙퇴비는 오염원천임은 공공연한 사실이다.  그는 “건강한 퇴비, 소포장 퇴비 공급”, “직업형 도시농부 활동가 양성”등 을 대안으로 언급하며 도시농업의 잠재적 시장에 가능성을 뒀다.

비농지의 농지화 정책도 언급됐다. 강내영 경희대 후마니스타스칼리지 교수는 “도시농업을 지속하기 위해 도시 내 유휴공간을 녹지화하고 농지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도시농업을 매개로 도시의 녹색인프라 구축이라는 큰 틀에서 접근해야 된다”고 말했다.

또한 이날 주요 이슈로 떠올랐던 먹거리정책에 대해서 김선정 건강한농부 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은 얼마 전 개점한 “‘상생상회’ 같은 도농상생네트워크가 자치구마다 있어야 한다”, “도시농업이 경작중심에서 벗어나 먹거리플랜에 참여해 현재 지자체 주도하고 있는 먹거리플랜을 이끌어야 한다”는 의견을 펼쳤다.

그밖에 박람회처럼 비일상적인 교류의 장이 아닌 민간 도시농업단체들의 경제적‧사회적 교류 및 의제를 공유하는 상시 플랫폼 운영이 절실하다는 김충기 인천도시농업시민협의회 회장의 의견이 있었다. 이로써 민간단체의 교류 속에서 도시농업 의제를 만들고 정책을 제안하는 구심점으로서 도시농업연구소의 필요성이 또다시 제기됐다.

토론회 좌장을 맡은 이창우 서울도시농업위원회 위원장은 “일반시민이 공감하고 동참할 때 도시농업 미래가 밝다. 민민네트워크, 먹거리정책이 다 얽혀있다. 소비에서 생산 중심으로 외연적으로 확산돼야한다. 도시농업연구소 발족시켜 지속적으로 포럼 진행하면 가능하지 않나”고 마무리했다. [한국조경신문]

‘지속가능한 도시농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토론회가 지난 27일 도시농업 활동가 및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민간단체의 정체된 도시농업활동을 돌파하고, 도시농업이 직면한 문제 및 의제를 공유하고자 마련됐다
도시농업 활동가 및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지난달 27일 ‘지속가능한 도시농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토론회가 민간단체의 정체된 도시농업활동을 돌파하고 도시농업이 직면한 문제 및 의제를 공유하고자 마련됐다.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