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scape Times 이수정 기자] 다음 달이 지나면 벌써 2019년이다. 2020년 7월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일몰제 실효까지 이제 1년 6개월밖에 남지 않았다.

환경운동연합, 녹색연합 같은 환경단체부터 지역사회 풀뿌리시민단체까지 연이은 토론회를 통해 도시공원일몰제에 대한 중앙정부의 적극적 개입과 재정지원을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2020년까지 지방채 1조 3천억 발행하는 서울시를 비롯해 최근 민관협의체 형태 등 진주시나 청주시 등의 지자체에서도 도시공원을 지키기 위한 대안 찾기에 바쁜 행보를 이어간다. 미세먼지 방지나 기후변화 극복 등 도시의 녹색허파라 불리는 도시공원의 가치를 한 번에 사라지게 하는 도시공원일몰제는 그만큼 도시민에게 절실한 사안인 것이다.

지난 16일 윤후덕 국회의원 등이 주최‧주관부동산정책학회와 공동주관한 도시공원 일몰제 토론회에서 일몰제 대비 관련 정책 입법화가 또다시 공론화됐다.

이날 안승홍 한경대 조경학과 교수가 주제발표를 하며 도시공원일몰제에 대한 대안을 열띠게 제안했고, 이날 토론자들 사이에서는 지금이라도 국회 중심으로 각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전담팀을 만들어 입법 및 법 개정 추진 등 본격적으로 대응할 것을 촉구했다. 시민사회나 관련단체의 여론이 강력한 만큼 실질적인 정책 입안을 위한 대정부 TF팀 구성이 무엇보다 시급하기 때문이다.

최근 도시공원일몰제를 향한 인접 단체와 시민들의 분노 속에 조경인들은 어디에 있었을까. 의문이 든다 광장에 나온 시민들의 목소리를 조경인으로서 충분히 대변했는지, 아직도 도시공원과 가장 가까운 업역인 조경계는 카운트다운만 셀 것인지 자문해본다. 시민사회와 인접분야 전문가들이 끊임없이 쏟아내는 여론의 광장에서 조경계 목소리는 여전히 너무 작고 낮다. 지난 달 말 개최된 조경문화제 또한 그러했듯 정부의 그린벨트 해제나 과천의 뉴스테이 개발 같은 이슈에도 조경계의 목소리는 밀실에서 울렸다. 

강력한 메시지 담긴 직접행동과 정책 제안의 중심으로서 인접분야와의 교섭도 계속돼야 한다. 도시공원일몰제 대책을 위한 녹색의 광장으로 나가 조경문화제가 남긴 숙제처럼 조경계가 당대 이슈의 중심이 돼 대중과 고민하며 호흡하길 바란다. [한국조경신문]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