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scape Times 지재호 기자] 국내 시설원예 스마트팜 데이터 관리가 엉터리 통계로 진행되면서 신뢰할 수 없다는 지적과 함께 논란이 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지난해 말 시설원예 스마트팜 면적이 4010h에 이른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난 2016년에 농식품부 농업정보화 전담기관인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하 농정원) 자료에 따르면 스마트팜 확산사업 사업실적에는 2014년부터 2015년 최종사업실적은 시설원예 162농가, 과수 9농가, 축산 63농가, 여기에 2016년 컨설팅을 통해 사업 확정자를 기준으로 시설원예 212농가, 과수 22농가, 축산 115농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김현원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은 2014년부터 2016년 2년 동안 ICT확산사업을 통해 스마트팜을 설치한 시설원예 농가는 최대한 반영해도 370개 농가 정도라며 2015년 기준 평균 시설원예 면적이 1500평에 달한다는 점을 감안해 볼 때 전체 면적은 모두 합쳐도 200ha에 미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농식품부가 올해 스마트팜혁신벨리 사업을 추진하면서 국내 시설원예 스마트팜 면적이 지난해 말 4010ha에 육박했다는 통계는 상식적으로 납득할 수 없다고 김 의원은 밝혔다.

농식품부 발표에 따르면 시설원예 농가 약 8000농가들이 스마트팜을 운영하고 있는 얘기인데 지난해만 전체의 7500농가 이상, 94%가 증가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지체가 자체 예산으로 스마트팜을 확대했다고 해도 94% 증가는 수긍하기 어려운 수치라는 게 김 의원의 주장이다.

더욱이 농정원이 품목별 스마트팜 운영 실무를 가르치는 중급·고급 스마트팜 교육을 받은 농업인 숫자는 2015년에 548명, 2016년 894명, 2017년 741명, 여기에 올해 교육생수는 542명으로 중복 수강자를 고려치 않고 모두 더해도 2800명에 미치지 못한다.

농정원의 데이터 수집 부문도 논란을 야기시키고 있다. 데이터 수집을 위한 선도농가수는 210명이다. 그런데 농식품부 발표대로 하면 지난해 우리나라 시설원예 스마트팜 농가가 8000호에 육박한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210명은 2.6% 수준으로 빅데이터 분석자료로 보기에는 낯부끄럽다고 김 의원은 꼬집었다.

농식품부는 이달 지자체에 공문을 발송해 스마트팜 농가와 면적을 조사하고 있으며 11월 지자체로부터 자료를 넘겨받아 농정원에서 분석해 데이터를 추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조경신문]

 

저작권자 © Landscape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